[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ALICE 국제공동연구팀이 강한 핵력이 작용하는 초미시 세계에서 입자간의 강한 상호작용(강력)에 대한 새로운 성과를 얻었다고 26일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CERN(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한 국제공동프로젝트 중 하나인 ALICE에는 39개 국가의 1900여명이 참여하는데 한국에서도 인하대학교 윤진희 교수팀을 포함한 8개 기관 40명이 참여하고 있다.
빅뱅이 있고 백 만 분의 1초 후 형성됐을 원시우주를 재현하고 관찰, 우주초기물질의 생성과정과 상호작용을 밝혀 우주의 진화 과정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HC에서는 빛의 속도로 가속된 입자들을 충돌시켜 많은 입자들을 생성해 내고 있으며, ALICE 실험팀은 이 입자들을 분석해서 초미시세계의 작은 기본입자(쿼크, 글루온 등)간 상호작용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쿼크와 글루온 사이에 작용해서 강입자를 만드는 강력은, 강입자 사이에도 작용해서 원자핵을 만든다. 기본입자간 강력으로부터 강입자간 강력을 이해하는 것 (제1원리)은 아직 핵물리학의 풀지 못한 숙제로 알려졌다.
ALICE 연구팀은 최근 양성자간 충돌에서 생성된 강입자간 운동량 차이를 측정, 모든 강입자 사이의 강상호작용의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이 연구가 가능했던 것은 거대강입자가속기에서는 희귀한 종류의 강입자가 많이 생성되는데다 생성된 입자를 식별하고 운동량을 측정하는 검출기의 뛰어난 성능이 뒷받침된 결과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강력이 작용하는 영역인 1펨토미터(10-15 미터) 정도의 초미시세계를 탐사할 수 있는 펨토스코피(femtoscopy) 기술이 완성됐다. 양자역학적으로 아주 작은 영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운동량이 필요한데, 이번 연구를 통해 거대강입자충돌기에서 발생하는 희귀한 강입자들을 아주 높은 운동량까지 측정함으로써 이제까지 관찰할 수 없었던 펨토미터 영역을 탐사하는 길이 열리게 된 것. 이에 따라 강상호작용의 단거리 특성을 조사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ALICE에 참여하는 한국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협력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한편, ALICE 국제공동연구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네이처(Nature)’에 2020년 12월 9일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국제 연구팀, 거대강입자가속기로 초미시세계 입자간 상호작용 탐구
기사입력:2021-01-26 19:02: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874,000 | ▼103,000 |
비트코인캐시 | 702,500 | ▼15,000 |
이더리움 | 3,986,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20 | ▼210 |
리플 | 3,757 | ▼15 |
퀀텀 | 3,003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737,000 | ▼171,000 |
이더리움 | 3,983,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90 | ▼240 |
메탈 | 1,057 | ▲16 |
리스크 | 600 | ▲25 |
리플 | 3,748 | ▼29 |
에이다 | 969 | ▼16 |
스팀 | 198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88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703,000 | ▼14,500 |
이더리움 | 3,988,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10 | ▼370 |
리플 | 3,755 | ▼17 |
퀀텀 | 2,997 | ▼21 |
이오타 | 26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