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인공지능(AI)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닥터노아바이오텍(대표 이지현)은 SK케미칼과 ‘AI 기반의 신약개발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월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의 주요 목적은 닥터노아바이오텍이 보유한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양사 간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궁극적으로는 혁신 복합신약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닥터노아바이오텍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신경계/근육계 질환 치료제를 직접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현재 Stroke, ALS, DMD 등 다수의 내부 파이프라인을 개발 진행중에 있으며, 1년안에 첫번째 글로벌 임상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 총 55억원의 시리즈 A 투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였다.
닥터노아바이오텍은 문헌 정보, 유전체 정보, 구조 정보 등을 통합 분석하여 치료제를 개발하는 AI 기반의 ‘ARK(방주)’라고 불리는 독자적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플랫폼의 가장 큰 특징은 복합제 개발에 있다. CombiNet 시스템은 단일 약물에 비해 월등한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새로운 최적의 복합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CombiRisk 시스템은 두 약물 간의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복합제 조합을 구성하여, 새로운 복합신약으로 개발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치료제 초기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국내 인공지능 신약 개발 회사들 가운데 가장 먼저 임상에 진입하여 난치성 질환에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 회사의 목표다.
닥터노아바이오텍의 이지현대표는 “SK케미칼과 같은 훌륭한 파트너와 공동개발을 하게 되어 기쁘다. 지금까지 내부 파이프라인으로 검증된 ARK 플랫폼과 SK케미칼의 신약개발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인프라 등이 만나 큰 시너지를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SK케미칼 김정훈 연구개발센터장은 “이번 협약은 AI 플랫폼 기술을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특히 난치병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닥터노아바이오텍- SK케미칼의 ‘AI기반 신약 개발’ 공동연구는 신약개발 효율성이 개선되어 제약산업 환경에 대응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닥터노아바이오텍-SK케미칼, ‘AI기반 신약 개발’ 공동연구 협약 체결
기사입력:2020-11-27 09:32: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68,000 | ▲197,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1,500 |
이더리움 | 2,614,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40 | ▲100 |
리플 | 3,193 | ▲15 |
이오스 | 978 | ▲1 |
퀀텀 | 3,121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27,000 | ▲192,000 |
이더리움 | 2,616,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10 | ▲50 |
메탈 | 1,214 | ▼6 |
리스크 | 791 | ▼4 |
리플 | 3,194 | ▲20 |
에이다 | 997 | ▲6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80,000 | ▲36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1,500 |
이더리움 | 2,615,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60 | ▲80 |
리플 | 3,193 | ▲19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