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4곳 산업안전보건위 미설치…13곳 구성해도 유명무실

지자체 산안법 위반 고발, 243곳 중 111곳 기소의견 송치 기사입력:2020-10-11 19:12:35
질의하는 양이원영 국회의원.(제공=양이원영 의원실)

질의하는 양이원영 국회의원.(제공=양이원영 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미설치한 지방교육청이 전국 17곳 중 4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부산을 비롯해 구성이 완료된 13개 교육청(서울, 부산, 대전, 강원, 충북, 세종, 전북, 전남, 경남, 인천, 광주, 경기, 제주도) 회의 개최 실적은 보유하지 않아 사실상 위원회 운영이 유명무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울산, 충남, 전북, 경북교육청이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아직 설치되지 않았고, 이 중 경북은 연내 완료할 예정이라고 답했고 나머지 3곳은 노·사협의중이라고 11일 밝혔다.

민간부문에서도 연평균(2016~2019) 303건이 산업안전보건위 미설치로 적발됐다. 노동부 감독에서 적발된 사업장은 2016년 350건에서 2018년까지 등락을 보이다가 2019년 231건, 2020년 8월까지 31건으로 줄었다. 5년간 건당 평균 과태료는 220만 원(2016)에서 370만 원(2020.8.)으로 늘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상시 근로자 100인 이상 사업주가 법적으로 설치, 운영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고의무를 규정하지 않아 노동계에서 매해 문제를 제기해 왔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이 3년마다 실시하는 안전동향조사에서도 2018년 조사대상 사업장 5,219개 중 미설치 비중이 37.2%로 나타나 직전 2015년 28.2% 대비 9%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산안법 위반 고발건 처리현황.(제공=양이원영 의원실)

지자체 산안법 위반 고발건 처리현황.(제공=양이원영 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한편,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이 2018년 고발한 전국 지방자치단체 243곳 처리 결과도 확인됐다.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미실시 혐의로 고발된 243곳 지자체 중 111곳은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됐으며 132곳은 불기소 의견으로 송치됐다.

안전보건관리체제 및 안전교육 미실시 혐의에 따라 170곳 지자체에는 16억8476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이중 34곳 지자체는 재판이 진행 중이다.

양이원영 의원은 “산업안전보건위 설치 등 산안법을 지자체와 교육청 등 공공부문이 지키지 않는 상황에서 민간부문을 관리감독할 수 있겠느냐” 지적하며 “노동부 차원에서 공공부문부터 산안법을 지킬 수 있도록 상시적인 관리감독 절차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68,000 ▲206,000
비트코인캐시 701,500 ▼500
이더리움 4,018,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930 ▼120
리플 3,787 ▲36
퀀텀 3,059 ▼4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74,000 ▲402,000
이더리움 4,017,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930 ▼90
메탈 1,077 ▼20
리스크 609 ▲1
리플 3,784 ▲35
에이다 973 ▲6
스팀 19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6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700,500 ▼1,000
이더리움 4,01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910 ▼130
리플 3,788 ▲35
퀀텀 3,115 0
이오타 256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