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력 확보·투자연구 이어간 엔씨, 성과 가시화 ‘초읽기’

기사입력:2020-09-24 10:47:00
지난해 개최된 NC AI 미디어 토크 전경. 사진=엔씨소프트

지난해 개최된 NC AI 미디어 토크 전경. 사진=엔씨소프트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국내외 게임 업체 중 이례적으로 AI(인공지능)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는 엔씨소프트(이하 엔씨(NC))가 금융업계와의 협력을 논의하는 등 가시화된 성과 창출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엔씨(NC)는 최근 KB금융그룹과 AI 기반 투자자문 합작사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중이다.

엔씨(NC)의 AI부문 투자는 20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엔씨(NC)는 현재 AI 센터와 NLP 센터(자연언어처리,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산하에 5개 연구소(Lab)를 운영 중이다. AI 전문 연구인력만 150명에 달한다.

AI 인재 확보를 위해 엔씨(NC)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중이다. 지난 2018년부터 운영중인 ‘엔씨 펠로우십(NC Fellowship)’은 국내 주요 대학의 AI 및 전산 관련 동아리들을 대상으로 1년 여간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AI 전문 연구원을 꿈꾸는 학생들이 엔씨 AI 연구원들과 협업하며 직접 교육받고, 실전에 적용까지 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엔씨 펠로우십은 올해 국내 대학 8개 동아리에서 총 16개 팀이 참여하고 있다. 교육 과정을 거쳐 각 팀이 개발한 게임 AI의 리그 대결을 진행하며, 최종 우승팀과 준우승팀에게는 총 1000만 원 규모의 상금이 수여된다. 우수 참가자에게는 엔씨 AI센터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인턴십 기회가 주어지고 있으며, 실제 정규직 채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엔씨(NC)는 올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과 함께 언어학, 인문학, 산업현장을 모두 아우르는 공동 수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 수업은 엔씨(NC)와 연세대가 대학혁신지원사업 디지털 인문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획한 산학 연계 강의다. 우리말을 AI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양질의 언어 데이터를 확보하고 인문학 기반의 4차 산업혁명 인재 양성에 기여하는 취지로 운영되고 있다.

국내 AI 분야 대학원 연구실과도 긴밀한 연구협력을 맺는 등 산학과 긴밀히 연계해 활발한 연구 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열리지 않았지만, 매년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협력 관계에 있는 우수 연구진과 AI 기술 개발 방향을 논의하는 ‘NC AI DAY’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NLP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임해창 전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를 자문교수로 영입한 바 있다.

이같은 엔씨(NC)의 인재 확보와 투자가 결실을 맺은 사례로는 ▲머신러닝 기반의 인공지능(AI) 기술로 스스로 날씨 기사를 작성하는 AI ▲야구 경기의 하이라이트를 요약해 편집하는 AI가 있다. 게임회사로 잘 알려진 엔씨소프트(이하 엔씨(NC))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들이다.

엔씨(NC) 관계자는 ” 사회 다방면에 AI를 적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개발∙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엔씨소프트는 28일부터 AI 직군을 포함한 하반기 공개채용을 시작한다. 2020년 신입사원 공개채용과 관련한 세부 정보는 엔씨(NC) 채용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50,000 ▲46,000
비트코인캐시 528,000 ▼3,000
이더리움 2,60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120
리플 3,179 ▼8
이오스 970 ▼3
퀀텀 3,120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902,000 ▲82,000
이더리움 2,609,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950 ▼100
메탈 1,207 ▲1
리스크 792 ▲1
리플 3,178 ▼10
에이다 996 ▼1
스팀 2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90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528,500 ▼2,000
이더리움 2,609,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100
리플 3,178 ▼12
퀀텀 3,102 0
이오타 29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