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포메인은 외식 전문 기업 ㈜데일리킹에서 2006년 런칭한 베트남 쌀국수 전문 프랜차이즈 브랜드로 올해 14살을 맞았다.
포메인 브랜드명은 베트남 쌀국수를 뜻하는 ‘포(PHO)’와 면을 뜻하는 중국어 미엔의 영어 발음 ‘메인(MEIN)’의 합성어로 쌀국수와 쌀국수면에 대한 철학이 깃들어있다.
실제로 포메인은 쌀국수면을 직접 생산하기 위해 2015년 베트남 현지에 공장 포시즌(PHOSEASON)을 설립해 수년간의 연구로 화학 첨가물 없는 햅쌀 쌀국수면 개발에 성공했다. 햅쌀면은 식감과 향, 영양 성분 측면뿐만 아니라 맛도 뛰어나 대다수 쌀국수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출처 모를 쌀국수면과는 비교 불허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햅쌀면은 ㈜데일리킹 브랜드인 포메인과 포메인 RED에 독점 납품 중이다.
2016년 현대그린푸드 MOU를 맺고 위해상품 차단시스템을 도입해 가맹점에 안전과 우수성을 인증받은 식자재만을 납품하고 있다.
포메인 자체 조사에 따르면 약 10년간 가맹 매장 수 상위를 차지했던 두개 브랜드 모두 과거 대비 30%에서 많게는 절반까지 매장 수가 감소하였고, 10년간 매장 수 1위를 지켜온 포메인은 현재 매장 수 2위 브랜드와 2배가 넘는 가맹점을 보유하는 저력을 보이며 대한민국 쌀국수 대표 브랜드의 입지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또 2019년 2월 대비 2020년 3월 기준으로 전국 80개 이상의 가맹점을 보유한 베트남 쌀국수 프랜차이즈 세 곳 중 한 자릿수의 폐점률을 보인 브랜드는 포메인 뿐이라는 결과다. 에스닉 푸드 열풍으로 2015년 등장한 신생 브랜드 에○이가 2019년 약 105개 매장에서 2020년 약 70개 매장으로 약 33.33% 폐점했고, 매장 수 3위를 차지한 포○이 역시 2019년 약 89개 매장에서 2019년 63개로 약 30%로 가파르게 감소했다. 반면 포메인은 139개 매장에서 130개로 약 6%의 최저 폐점률을 형성해 2019년 말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외식 업종 평균 폐점률인 약 9% 보다도 3%나 낮은 수치를 보이며 경쟁력을 과시했다.
포메인은 2014년 업계 최초 딜리버리 서비스를 시작했다.
또한 지난해 11월 프리미엄 소규모 쌀국수 브랜드 ‘포메인 RED(Rice noodle Express Delivery’를 런칭하며 소자본소규모 시장 선점을 꿰하고 있다. 포메인 RED는 포메인이 14년간 쌓아온 노하우와 1인 식당, 배달 특화, 소규모 창업 등의 트렌드를 접목해 기존 소자본소규모 브랜드와는 완전히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취하고 있다. 브랜드 파워는 물론 키오스크(무인결제시스템) 도입으로 가능해진 최소 인건비 운용과 전문 딜리버리 서비스로 확장된 수익 창출 구조를 필두로 초보창업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 실제로 포메인 RED는 불황속에도 월 5개 매장 오픈을 기록하며 단시간내 7개 매장을 달성하는 등의 성과를 보였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14살 된 포메인은 어떤 기업?
기사입력:2020-06-23 10:09: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83,000 | ▲36,000 |
비트코인캐시 | 523,500 | ▼2,000 |
이더리움 | 2,62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70 | ▼60 |
리플 | 3,159 | ▲8 |
이오스 | 1,059 | ▼3 |
퀀텀 | 3,096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92,000 | ▲98,000 |
이더리움 | 2,625,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90 | 0 |
메탈 | 1,182 | ▲1 |
리스크 | 771 | ▼3 |
리플 | 3,159 | ▲4 |
에이다 | 1,024 | ▲10 |
스팀 | 219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4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524,500 | ▼1,000 |
이더리움 | 2,624,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50 | ▼80 |
리플 | 3,160 | ▲8 |
퀀텀 | 3,098 | 0 |
이오타 | 30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