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신종 코로항공편수가 급감한 제주국제공항 국제선 하늘길이 멈춰섰다. 1969년 제주공항이 국제선 업무를 시작한지 51년 만에 처음 맞은 일이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 제주공항 국제선 노선은 제주에서 중국과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대만 등 5개국에 25개 노선이 운영됐지만, 지난달부터 항공편이 줄기 시작해 결국 모든 노선이 올스톱되는 사태에 직면했다.
14일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제주와 말레이시아를 오가는 에어아시아 D7501편의 운항이 취소됐다. 제주~말레이시아는 지난 8일 이후 유일한 제주공항 국제선 노선이다.
그나마 남아있던 노선의 운항 중단에는 코로나19 전파를 우려하는 말레이시아 정부의 강경한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어아시아 관계자는 "정부 방침을 따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있다"며 "추후 운항 여부도 아직 말하기는 섣부른 시기로 보인다"고 전했다.
국제선 셧다운은 지난달 4일 정부의 무사증 입국 제도 중단 조치 이후 예견됐다.
무사증 제도 중단 영향에 따라 제주~중국 노선 항공편이 크게 줄었고, 지난달 16일 중국 동방항공의 운항 중단으로 정규 노선은 완전히 끊겼다.
중국을 오가는 직항편이 끊긴 것은 2002년 무사증 제도 시행 이후 처음있는 일이다.
제주공항은 지난 1968년 처음 국제공항으로 인증받았다. 이듬해 일본 오사카 직항 노선 취항 이후 국제노선을 운영해왔다.
제주공항 국제선은 코로나 사태 직전인 올해 1월 한 달 간 1682편 운항에 3만9050명이 이용할 정도로 붐볐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피하지는 못했다. 현재는 중국 춘추항공이 하루 한번 운항하는 푸동과 심양행 임시편을 운영할 뿐이다.
말레이시아 노선이 오는 28일까지 운휴를 신청함에 따라 이번 주말은 국제선 운항이 이뤄지지 않는다. 16일부터는 춘추항공이 푸동행 임시편 운항을 재개한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제주공항, 국제선 운항 51년 만에 '정지'
기사입력:2020-03-14 12:53:0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00,000 | ▲650,000 |
비트코인캐시 | 529,000 | ▲5,500 |
이더리움 | 2,591,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10 | ▲110 |
리플 | 3,174 | ▲2 |
이오스 | 988 | ▲12 |
퀀텀 | 3,112 | ▲3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62,000 | ▲689,000 |
이더리움 | 2,592,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40 | ▲210 |
메탈 | 1,210 | ▲15 |
리스크 | 780 | ▼0 |
리플 | 3,173 | ▼1 |
에이다 | 989 | ▲1 |
스팀 | 21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00,000 | ▲760,000 |
비트코인캐시 | 530,500 | ▲5,500 |
이더리움 | 2,595,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30 | ▲210 |
리플 | 3,173 | 0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29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