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신영증권은 셀트리온(068270, 전일 종가 19만6500원)이 3분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거두며 확실한 실적 개선을 이뤘다며, 4분기 램시마SC의 유럽 판매승인과 트룩시마의 미국 출시 및 공장 증설 시너지로 실적 개선세가 뚜렷할 것이라고 7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도 24만원을 유지했다.
신영증권에 따르면 셀트리온의 3분기 잠정 매출은 2891억원(전년 동기 대비 +25.1%, 전 분기 대비 +23.0%), 영업이익은 1031억원(전년 동기 대비 +40.1%, 전 분기 대비 +23.6%)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매출은 바이오의약품 2168억원(전년 동기 대비 +17.3%, 전 분기 대비 +21.4%)과 Teva의 아조비 위탁생산 231억원 신규 발생으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중에는 판매를 앞둔 램시마SC(전체 매출의 45%)와 트룩시마(29%)의 공급 확대와 재고관리를 위한 매출이 주를 이뤘다. 영업이익률은 35.7%로 상대적으로 원가율이 좋은 램시마SC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케미칼제품 개발에 따른 연구개발비(308억원, 전년 동기 대비 +36.1%)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3.8%p, 전 분기 대비 0.2%p 상승했다.
신영증권 이명선 연구원은 4분기는 1공장 증설 효과에 따라 매출은 전년보다 34.2%, 영업이익은 256.7%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에 따라 2019년 연간 매출은 1조714억원(전년 동기 대비 +9.1%), 영업이익은 4080억원(전년 동기 대비 +20.5%)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이명선 연구원은 “셀트리온은 10월에 개최한 유럽 장질환학회(UEGW)에서 램시마SC의 IBD 임상결과를 발표했는데, 크론병(CD) 및 궤양성 대장염(UC) 환자 대상으로 램시마IV와의 비교임상 연구 결과, 약동학 측면에서 비열등성 및 유효성의 유사성을 보였고, 안전성 또한 유사하게 나타났다”라며 “램시마SC는 우선 11월내에 류마티스 관절염(RA)으로 유럽 판매승인이 예상되고, 내년 3분기에는 염증성 장질환(IBD)으로 적응증 확대 승인이 전망되는데, 유럽 판매승인은 확실시되었으나 아직까지 제품 가격이 논의 중으로 램시마IV와의 판매 시너지, 수익성 개선 여부 등은 좀더 지켜봐야한다”라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은 올해 8월부터 크론병환자 600명 대상 임상 3상을 시작해 2021년 임상결과를 토대로 2022년 승인할 전망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3분기에 이어 4분기는 램시마SC의 유럽 판매승인과 트룩시마의 미국 출시 그리고 공장 증설 시너지 등으로 실적 개선세가 뚜렷할 것”이라며 “또한 2020년은 허쥬마의 미국 출시와 램시마SC의 유럽 출시를 앞두고 있어 각 제품별 시장개척 진척도와 실적 개선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라고 분석을 마쳤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신영증권 “"셀트리온, 램시마SC 유럽 판매승인·트룩시마 미국 출시로 실적 개선세 이어질 것"
기사입력:2019-11-07 09:23: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39,000 | ▼584,000 |
비트코인캐시 | 530,500 | ▲500 |
이더리움 | 2,610,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50 | ▼210 |
리플 | 3,154 | ▼12 |
이오스 | 1,048 | ▼8 |
퀀텀 | 3,126 | ▼1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00,000 | ▼601,000 |
이더리움 | 2,611,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60 | ▼170 |
메탈 | 1,191 | ▲2 |
리스크 | 774 | ▼0 |
리플 | 3,154 | ▼12 |
에이다 | 1,007 | ▼6 |
스팀 | 21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00,000 | ▼580,000 |
비트코인캐시 | 530,000 | ▲500 |
이더리움 | 2,610,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30 | ▼220 |
리플 | 3,154 | ▼14 |
퀀텀 | 3,138 | 0 |
이오타 | 30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