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연근해어업 생산 오징어 늘고...고등어 줄고

기사입력:2019-09-04 14:59:18
[로이슈 노지훈 기자] 해양수산부는 2019년 7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지난해 7월에 비해 19.8% 감소했다고 밝혔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올해 7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6만5천톤으로 지난해 7월(8만1천톤)에 비해 19.8% 감소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1만6천톤, 오징어 1만1천톤, 전갱이 5천3백톤, 갈치 3천7백톤, 고등어 2천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 증감 추이를 보면, 오징어(102%↑), 전갱이(25%↑), 붉은대게(21%↑) 등의 생산량이 전년보다 증가했고, 가자미류, 청어, 삼치는 전년 수준, 고등어(82%↓), 멸치(37%↓), 갈치(21%↓)는 전년보다 생산량이 감소했다.

오징어는 불법조업(공조조업 및 동경 128도 이동조업) 단속 강화로 인해 산란어미개체가 증가하고 1~3월에 평년보다 온난한 산란환경이 형성되면서, 여름철 주 어장인 서해에서의 어군밀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전갱이는 주 업종인 대형선망어업의 휴어기에도 불구하고 남해~동해남부해역의 평년 대비 저수온(0.5~1.5℃↓) 영향으로 제주연안에 어군이 밀집되면서, 제주지역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이 큰 폭(293%↑)으로 증가했다.

붉은대게는 금어기 실시 전까지 제한적으로 조업이 이루어졌으나, 경북지역 근해통발어업의 어획량이 전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반면, 고등어는 올해부터 주 업종인 대형선망어업의 휴어기가 3개월로 확대 실시되면서 7월 중순까지 조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어획량이 전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멸치는 남해 연근해 전역에 걸쳐 저수온(평년 대비 0.5~1.5℃↓)이 형성됨에 따라 어군이 외해로 분산되면서 어장 형성이 부진했다. 특히 대표업종인 기선권현망은 4~6월의 금어기를 마치고 조업을 재개하였으나, 어장형성 부진과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에 비해 어획량이 감소했다.

갈치는 중부동중국해~북부동중국해의 평년 대비 저수온(1.0~1.5℃↓) 영향으로 어군의 북상회유가 지연되면서 우리나라 주변으로 내유하는 어군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보다 부진한 어황을 기록했다.

2019년 7월 연근해어업 생산액은 전년(2840억원)보다 4.5% 증가한 2,968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어종별 생산액은 전년보다 오징어(663억)가 106%, 붉은대게(37억)가 98%, 삼치(30억)가 24% 증가했고, 갈치(321억), 가자미류(71억), 전갱이(41억), 청어(10억)는 전년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멸치(183억)는 전년보다 53% 감소했으며, 고등어(39억)는 대형선망어업의 휴어기 확대로 전년보다 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지훈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41,000 ▼104,000
비트코인캐시 820,000 ▼1,000
이더리움 6,458,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9,940 ▼150
리플 4,276 ▼28
퀀텀 3,589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14,000 ▼155,000
이더리움 6,456,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9,990 ▼100
메탈 1,038 ▼8
리스크 543 ▼3
리플 4,277 ▼24
에이다 1,268 ▼9
스팀 19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2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819,500 ▼1,500
이더리움 6,46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9,930 ▼130
리플 4,275 ▼25
퀀텀 3,596 ▼14
이오타 27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