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노지훈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는 14일 오전, 한국기계연구원을 방문했다.
이날 방문은, 기계-장비 산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연구계, 기업, 자체 관계자와 함께 소재-부품-장비산업과 관련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일본 수출규제 조치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관련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중장기 소재-부품-장비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소재부품장비 산업은 제조업의 허리이자 경쟁력의 핵심요소이나, 외국에 대한 높은 의존도 등 산업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으로, 정부는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핵심품목에 대한 대규모 R&D 집중투자(매년 1조원 이상), 신소재 개발 등을 위한 R&D 예타면제와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구축을 위한 패키지 지원안 등을 마련했다.
이 총리는 한국기계연구원에서 박천홍 원장으로부터 기계연구원의 연구현황과 장비산업 육성을 위한 계획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어서 참석자들과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방안' 및 '장비기술 국산화 등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총리는 "최근 들어 더 어떤 분야를 특정 국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과잉의존의 위험성을 실감한다"며, "소재-부품-장비 같은 핵심분야의 수입뿐만이 아니라 수출도 특정 국가에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말했다. 또 "특정 국가에 대한 과잉의존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소재-부품-장비산업의 육성-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법령 개정과 함께 예산 지원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특정 국가에 대한 과잉의존을 탈피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의 성격에 따라 국산화가 필요한 분야는 국산화를 해야 하지만, 모든 것을 국산화 하자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며, 상황에 따라 수입처 다변화, 원천기술 구매, 해외의 원천기술 보유 기업과의 M&A 지원도 언급했다.
간담회 후 이 총리는 참석자들과 함께 대형플랜트실험실로 이동하여 한국기계연구원 송창규 박사로부터 국산 CNC 개발 성과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직접 국산 CNC가 탑재된 공작기계에서 절삭가공을 시연했다.
이후 이 총리는 참석자들과 함께 평가시험실을 방문해 한국기계연구원 박종원 신뢰성평가연구실장으로부터 장비의 신뢰성평가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현장에서 기술 국산화에 힘쓰고 있는 기계연구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노지훈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이낙연 총리, "특정 분야 지나치게 특정국가 의존...바로 잡아야"
기사입력:2019-08-14 15:59: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422,000 | ▼13,000 |
비트코인캐시 | 820,000 | ▼1,500 |
이더리움 | 6,460,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990 | ▼90 |
리플 | 4,283 | ▼16 |
퀀텀 | 3,594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335,000 | ▼179,000 |
이더리움 | 6,461,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40 | ▼60 |
메탈 | 1,037 | ▼10 |
리스크 | 543 | ▼4 |
리플 | 4,285 | ▼14 |
에이다 | 1,270 | ▼7 |
스팀 | 19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400,000 | ▼50,000 |
비트코인캐시 | 819,500 | ▼1,500 |
이더리움 | 6,46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00 | ▼60 |
리플 | 4,282 | ▼17 |
퀀텀 | 3,596 | ▼14 |
이오타 | 27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