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외 의존형 산업구조 탈피 위한 제도개선 '가속도'

기사입력:2019-08-08 16:57:41
[로이슈 노지훈 기자] 대외 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산업기술 R&D 제도를 대폭 개선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8일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소재-부품 분야 11개 주요 공공연구기관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소재-부품 연구 현황을 청취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성윤모 장관은 "연구계가 기업과 한 몸처럼 협력 및 소통해 소재-부품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공급기업이 개발한 소재-부품이 수요기업과 긴밀히 연계될 수 있도록신뢰성 확보, 실증 및 양산의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해 달라고"고 당부했다.

아울러 해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업의 공급 대체선 다변화를 지원하고, 기술 매칭과 공동 연구 등을 적극 추진해주기를 요청했다.

공공연구기관장들은 정부가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발표를 환영하며, 후속 조치 이행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연구개발 단계부터 양산 단계까지 전 과정에 연구원 역량을 총 결집하여산업현장에서 소재-부품기업이 겪고 있는 애로를 최우선적으로 해소함으로써, 소재-부품 해외 의존을 극복하는 계기로 삼을 것을 다짐했다.

특히 이날 간담회에서는 화학연구원과 기계연구원이 소재-부품 R&D 주요 성과와 향후 연구계획을 발표했다.

화학연구원은 "정부 프로젝트를 통해 폴리이미드를 개발하고 상업생산에 성공하여 14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사례를 발표하고, 향후 이차전지 소재, 수소차 전해질 소재 등 미래 신산업 핵심소재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며, "기계연구원은 반도체 유해물질 플라즈마 전처리 기술이전 수혜기업이 4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사례를 발표하고, 향후 특정 국가의 독과점 수준이 높은 CNC, 로봇용 감속기, 초저온냉동기 등 핵심부품 기술 자립화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는 소재-부품 분야 핵심기술의 조기 확보와 대외 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뒷받침하기 위한 산업기술 R&D 제도개선 내용을 발표했다. 주요 골자로는 수요-공급기업 협력 기술개발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핵심기술 조기 확보를 위해 정책지정 등의 신속한 사업추진 방식 도입, 경쟁형 R&D 또는 복수지원 R&D 형태의 연구개발 방식으로 인한 연구방식 유연화, 도전적 연구개발 장려 및 행정 부담 완화 등의 내용을 등이다.

한편 정부는 지난 8월 5일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의 후속조치로,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중심으로범정부 차원의 R&D 경쟁력 강화 대책을 마련 중에 있으며, 금번 산업기술 R&D 제도개선 사항을 포함하여, 핵심 소재의 자립역량 확보를 위한 R&D 투자전략과R&D 프로세스 혁신 등을 담아 8월 말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노지훈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15,000 ▲668,000
비트코인캐시 667,000 ▲3,500
이더리움 4,069,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590 ▲60
리플 3,961 ▲1
퀀텀 3,040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79,000 ▲685,000
이더리움 4,069,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600 ▲20
메탈 1,053 ▲11
리스크 595 ▲1
리플 3,959 0
에이다 991 ▼1
스팀 19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10,000 ▲720,000
비트코인캐시 668,000 ▲3,000
이더리움 4,072,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4,610 ▲50
리플 3,960 0
퀀텀 3,030 ▲6
이오타 297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