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사드 여파로 주춤했던 우리 농식품의 대 중국 수출이 지난해 약 1조 8천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16%나 성장했다고 7일 밝혔다. 중국 칭다오 내 ‘한국농수산식품물류센터(이하 칭다오물류센터)’도 4년 만에 최고 가동률을 기록하며 농식품 물류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와 aT가 설립한 칭다오물류센터는 작년 연말 기준으로 가동률 73.8%를 달성했다고 알려졌다. 칭다오물류센터는 건축면적 13,669㎡(약 4,142평) 규모로 ‘상온, 냉장‧냉동’으로 구분보관이 가능해 주요 수출품목인 포도, 버섯, 신선우유 등 신선제품의 보관과 유통에 용이하다.
칭다오물류센터로 입고되는 물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운영 첫해인 2015년 입고량은 7,744톤이었으나 지난해에는 9,199톤으로 4년 만에 19% 가까이 증가했다. 물류센터를 이용하는 현지 수입바이어도 10개사에서 30개사로 늘었다고 전했다.
칭다오물류센터에 도착한 한국 농식품은 중국 내륙 지역으로 운송을 위해 일정기간 창고에 보관되며 7~30일이 소요된다. 이때 발생되는 보관 및 입출고 비용의 10~30% 수준으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소수출업체의 유통비용 부담을 크게 낮출 수 있다.
aT는 칭다오물류센터를 통해 중소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중국국가표준(GB) 및 성분검사, 라벨링, 상표권 출원, 위생증 발급 등을 돕는 ‘중국 One-Stop 수출지원사업’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7개 국내 수출업체의 통관을 지원했으며, 30만 달러의 수출 거래 알선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아울러 aT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 주요 19개 도시에 콜드체인 운송망을 구축하여 수출 농식품의 내륙지역 이동 지원에도 나서고 있다.
신현곤 aT 식품수출이사는 “칭다오물류센터는 한국 농식품의 수출물류허브로서 앞으로도 대 중국 수출확대를 견인해 나갈 계획”이라며 “급성장하는 중국 온라인 시장 개척과 신선농산물 수출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aT 칭다오물류센터, 한국농식품 물류허브로 ‘우뚝’
기사입력:2019-08-07 20:55: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45.24 | ▼16.06 |
코스닥 | 863.11 | ▲6.00 |
코스피200 | 473.44 | ▼1.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799,000 | ▼122,000 |
비트코인캐시 | 850,000 | ▼2,500 |
이더리움 | 6,317,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50 | ▼160 |
리플 | 4,226 | ▼7 |
퀀텀 | 3,396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660,000 | ▼238,000 |
이더리움 | 6,311,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80 | ▼110 |
메탈 | 1,005 | ▼9 |
리스크 | 509 | ▼3 |
리플 | 4,223 | ▼8 |
에이다 | 1,258 | ▼9 |
스팀 | 18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690,000 | ▼210,000 |
비트코인캐시 | 848,500 | ▼4,500 |
이더리움 | 6,31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620 | ▼200 |
리플 | 4,222 | ▼10 |
퀀텀 | 3,399 | ▼6 |
이오타 | 26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