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가희 기자] 부산항 북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간 통합 기본방안을 확정함에 따라, 터미널의 대형화•규모화가 이루어져 항만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는 19일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부산항 북항 통합을 위한 기본협약 체결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행사에는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 이준갑 부산항터미널 대표이사, 박성순 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다.
최근 전 세계 해운항만산업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대형 터미널 체계로 운영되고 있는 것에 비해, 부산항은 다수의 소규모 터미널 체계로 운영되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터미널 규모가 작아 다른 부두로의 환적과 체선 등이 잦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는 지난해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체계 전면 개편계획’을 발표하고 이행방안을 강구해 왔으며, 그 일환으로 이번에 부산항 북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간 통합 기본방안을 확정하게 되었다.
이번 통합 기본방안은 터미널 운영사의 자율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올해 안에 북항 통합 운영사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본협약은 신선대•감만 부두 운영사(부산항터미널) 및 신감만 부두 운영사(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 대표이사와 부산항만공사 사장 간에 체결한다.
이번 기본협약은 ① 통합 운영사 주주 간 지분율 결정 기준 ② 고용 안정성 확보 ③ 통합법인 설립을 위한 협의체 구성•운영 ④ 상호 협력사항 등 통합을 위한 주요 사항을 담고 있다. 이후 운영사 간 추가적인 세부협의와 기업결합 심사 등의 절차를 통해 통합 운영사 출범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부산항 북항 통합 운영사가 올해 안에 출범하게 되면 2016년 신선대, 감만부두 운영사 간 통합 이후 지속되었던 북항 통합과정이 마무리된다.
이를 통해 부산항은 항만 효율성이 높아지고 선박 대형화, 해운동맹 규모 확대 등의 세계 해운항만시장 변화에 더욱 탄력적으로 대응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터미널 대형화는 터미널 운영사 간 자율적인 협력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부산항 내 국적기업 간의 상생 기반도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가희 기자 no@lawissue.co.kr
터미널의 대형화...부산항-북항, 올해 중 통합 운영
기사입력:2019-04-18 12:12:5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26,000 | ▲454,000 |
비트코인캐시 | 827,000 | ▲2,000 |
이더리움 | 6,411,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10 | ▲150 |
리플 | 4,224 | ▲12 |
퀀텀 | 3,498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695,000 | ▲445,000 |
이더리움 | 6,412,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80 | ▲150 |
메탈 | 1,049 | ▲1 |
리스크 | 528 | ▲2 |
리플 | 4,221 | ▲10 |
에이다 | 1,237 | ▲4 |
스팀 | 18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65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825,000 | 0 |
이더리움 | 6,410,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20 | ▲90 |
리플 | 4,221 | ▲10 |
퀀텀 | 3,488 | 0 |
이오타 | 26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