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노인복지관 인지지원서비스 시범사업’을 4월부터 전국 46개 지역 50개 노인복지관으로 확대‧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공단은 2017년 9월 정부에서 치매국가책임제 추진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경증치매 어르신도 신체기능에 관계없이 장기요양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장기요양 ’인지지원등급‘이 신설(’18.1월)하게 되었다.
이에 2018년 4월에는 29개 지역 37개 기관의 노인복지관을 통해 경증치매 어르신께 장기요양기관이 아닌 가까운 지역사회 내 노인복지관을 통해 경증치매에 특화된 인지지원 프로그램과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18년 9월 2차에는 34개 지역 39개 기관으로 확대하였다.
프로그램 이용자의 만족도는 90.4% 가족은 82.5%로 매우 높았으며, 만족사유로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어서”라는 응답자가 많았으며 “앞으로도 계속 이용할 것이며 타인에게 꼭 추천 하고 싶다.”고 이야기 하였다.
‘노인복지관 인지지원서비스’ 참여자는 현재 39개 기관 325명이 며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간 장기요양 인지지원등급자 500명으로 확대하여, 치매전문교육을 이수한 프로그램 운영자가 작성한 계획에 따라 기본 1일 3시간*(필수 2시간+자율 1시간) 이상, 주 3회 월 12회의 인지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노인복지관에서 치매환자의 잔존능력을 유지하고 악화방지를 위한 인지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지역사회 내 돌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노인복지관의 다양한 인프라를 통해 치매 친화적 환경에서 초기 치매 진행을 지연시켜 어르신의 존엄한 삶을 영위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건보공단, '2019년도 노인복지관 인지지원서비스' 확대실시
기사입력:2019-03-26 22:23:1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25,000 | ▼559,000 |
비트코인캐시 | 826,000 | ▲5,000 |
이더리움 | 6,406,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40 | ▼140 |
리플 | 4,215 | ▼15 |
퀀텀 | 3,485 | ▼2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05,000 | ▼501,000 |
이더리움 | 6,402,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500 | ▼130 |
메탈 | 1,048 | ▲8 |
리스크 | 527 | ▼3 |
리플 | 4,212 | ▼15 |
에이다 | 1,235 | ▼7 |
스팀 | 18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00,000 | ▼570,000 |
비트코인캐시 | 823,500 | ▲1,500 |
이더리움 | 6,40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00 | ▼190 |
리플 | 4,214 | ▼15 |
퀀텀 | 3,500 | 0 |
이오타 | 27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