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가희 기자] 국방부는 인권 친화적인 병영문화 정착을 위해 ‘2019~2023 국방 인권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국방 인권정책 종합계획’은 국방 인권정책의 기본방향과 정책과제를 정리한 지침서로 5년 마다 작성하며, 이번 수립한 종합계획은 2011년 이후 3번째다.
‘2019~2023 국방 인권정책 종합계획’은 종합계획의 의의와 작성배경 등을 다룬 서론과 국방인권 환경, 종합계획 추진방향 및 추진전략, 과제별 세부 추진계획으로 구성돼 있다.
장병 인권보호를 강화하고 인권 친화적인 병영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국방부와 각 군이 향후 5년 동안 추진한다.
우선 장병 인권보호의 독립성, 투명성, 신뢰성 보장을 위해 국가인권위원회 내에 군 인권보호관 신설을 추진하고 군 성범죄 근절을 위해 국방부 국방여성가족정책과에 3명의 전담인력을 보강하였으며, 향후 ‘성폭력 예방‧대응과’ 신설을 추진한다.
또 인권침해 사고 발생 시 전문적인 법률 지원을 강화하여 사건 조사과정에서 피해자 등이 입을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자문 제도로서, 사단급 이상 부대에 1명 총 100여명의 자문변호사를 위촉하고 국방 인권영향평가제도를 인권관련 국방법령의 제•개정 및 폐지시 외에 인권관련 정책 및 제도 입안 시에도 인권 영향평가를 받도록 의무화했다.
이밖에도 현역병이 민간병원 외래진료 희망 시 군병원 경유없이 지휘관 승인만으로 민간병원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진료가 가능해지고, 구금을 전제로 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는 영창제도를 폐지하고 징계벌목을 다양화해 병사의 인권을 보호키로 했다.
김가희 기자 no@lawissue.co.kr
병사 영창폐지...민간병원 진료가능 '軍' 인권형 탈바꿈
기사입력:2019-02-25 12:59:5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9.47 | ▲5.19 |
코스닥 | 778.46 | ▲2.66 |
코스피200 | 413.02 | ▲0.2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848,000 | ▲314,000 |
비트코인캐시 | 674,000 | ▼500 |
이더리움 | 3,46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70 | ▲20 |
리플 | 3,108 | ▲9 |
퀀텀 | 2,699 | ▲1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70,000 | ▲274,000 |
이더리움 | 3,468,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00 | ▲10 |
메탈 | 918 | ▲0 |
리스크 | 516 | ▼0 |
리플 | 3,109 | ▲5 |
에이다 | 788 | 0 |
스팀 | 17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50,000 | ▲330,000 |
비트코인캐시 | 677,000 | 0 |
이더리움 | 3,46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10 | ▲170 |
리플 | 3,108 | ▲8 |
퀀텀 | 2,686 | 0 |
이오타 | 21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