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제네시스, ‘2019 iF 디자인상’ 동시 수상

기사입력:2019-02-12 12:14:12
(좌)팰리세이드, (우)르 필 루즈 콘셉트.(사진=현대자동차)

(좌)팰리세이드, (우)르 필 루즈 콘셉트.(사진=현대자동차)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현대·기아차·제네시스가 동시에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현대차그룹은 독일 국제포럼디자인이 주관하는 ‘2019 iF 디자인상’ 제품 디자인 부문 수송디자인 분야에서 ▲현대차의 ‘르 필 루즈’ 콘셉트, ‘팰리세이드’가, ▲기아차의 ‘프로씨드’, ‘씨드 해치백’, ‘씨드 스포츠왜건’이, ▲제네시스의 ‘에센시아’ 콘셉트가 각각 본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여기에 ‘G70·서울 2017’ 글로벌 런칭 이벤트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이벤트 분야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덧붙였다.

◆현대차, 6년 연속 디자인상 석권

현대차는 지난 2014년 2세대 제네시스(DH)가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2015년 i20, 2016년 아반떼·투싼, 2017년 i30, 2018년 i30 패스트백·코나·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쏠라티 무빙 스튜디오에 이어 6년 연속 iF 디자인상을 석권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제네바 모터쇼에서 현대차의 미래 디자인 방향성을 담고 있는 디자인 콘셉트카인 ‘르 필 루즈(Le Fil Rouge, HDC-1)’를 최초 공개한 바 있다. 특히 르 필 루즈에는 비례, 구조, 스타일링, 기술 등 4가지 기본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현대차의 새로운 디자인 방향성인 ‘센슈어스 스포티니스’가 적용됐다.

지난해 출시된 팰리세이드는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개발된 신개념 플래그십 대형 SUV로 디자인에서부터 공간 활용성, 주행성능, 안전편의사양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상품성을 갖췄다. 특히 팰리세이드는 사전계약 첫 날 3468대가 계약된 데 이어 사전계약 기간 동안 총 2만506대가 계약되는 등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왼쪽부터)프로씨드, 씨드 해치백, 씨드 스포츠웨건.(사진=기아자동차)

(왼쪽부터)프로씨드, 씨드 해치백, 씨드 스포츠웨건.(사진=기아자동차)

이미지 확대보기
◆기아차, 10년 연속 디자인상 수상

기아차는 지난 2010년 유럽 전략 차종 벤가가 처음 수상한 이후 2011년 K5·스포티지R, 2012년 모닝, 2013년 프로씨드, 2014년 쏘울, 2015년 쏘렌토, 2016년 K5·스포티지, 2017년 니로·신형 프라이드·K5 스포츠왜건에 이어 10년 연속 iF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프로씨드는 지난해 파리모터쇼에서 신형 모델로 최초 공개된 유럽 전략형 차량으로 기존 씨드 라인업의 스포티함을 좀 더 과감한 디자인으로 표현했다. 특히 디자인과 공간 활용성을 겸비한 슈팅 브레이크 타입의 모델로 해치백 및 스포츠왜건 모델보다 차체가 더욱 낮고 긴 독특한 형태의 후면부가 특징이다.

씨드 해치백은 스팅어의 패스트백으로부터 영감을 얻은 디자인을 바탕으로 이전 모델보다 더 넓고 낮은 차체와 스포티한 느낌을 살렸으며, 씨드 스포츠왜건은 이전 모델보다 더 길고 낮아진 차체를 바탕으로 날렵하면서도 안정적인 모습과 625ℓ의 적재공간이 특징이다.

이들 3개 차종은 기아차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생산돼 유럽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제네시스 에센시아 콘셉트.(사진=현대자동차)

제네시스 에센시아 콘셉트.(사진=현대자동차)

이미지 확대보기
◆제네시스, 전기차 기반 GT 콘셉트카

지난해 3월 뉴욕 모터쇼에서 최초 공개된 에센시아 콘셉트는 제네시스가 처음으로 선보인 전기차 기반의 GT(Gran Turismo) 콘셉트카로 제네시스 디자인 철학인 동적인 우아함을 세련되게 재해석한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향후 제네시스 차량에 적용될 미래 기술력의 비전을 보여주는 차다.

G70·서울 2017은 지난 2017년 G70의 탄생을 기념해 서울 올림픽 공원에서 개최된 글로벌 출시 행사로 그웬 스테파니, 안드라 데이, CL 등 세계 유명 아티스트와 관객 1만5000명을 초청해 기존 신차 출시 행사와는 다른 페스티벌 형식으로 진행된 바 있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844,000 ▲344,000
비트코인캐시 526,000 0
이더리움 2,626,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080 ▼40
리플 3,151 ▲6
이오스 1,054 ▲8
퀀텀 3,102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885,000 ▲304,000
이더리움 2,628,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110 ▲10
메탈 1,181 ▲11
리스크 773 ▲3
리플 3,151 ▲8
에이다 1,016 ▲11
스팀 2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780,000 ▲310,000
비트코인캐시 525,500 ▼500
이더리움 2,627,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110 ▲40
리플 3,151 ▲6
퀀텀 3,098 0
이오타 29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