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 상반기에는 10대 건설사들의 역대급 분양대전을 예고하고 있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오는 6월까지 10대 건설사가 공급하는 신규 아파트는 총 7만1644가구(컨소시엄 제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입주폭탄 우려까지 거론됐던 2016년 5만2680가구보다 2만가구 많고, 2000년부터 20년간 기록을 통틀어도 상반기 기준 가장 많은 물량이다.
10대 건설사 중 가장 많은 물량을 내놓는 건설사는 포스코건설이다. 포스코건설은 남양주, 인천 송도, 수원, 부산, 대구 등 전국 각지에서 총 12개 단지, 1만368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어 11개 단지, 1만3152가구를 선보이는 대림산업과 13개 단지, 1만1262가구 공급에 나서는 대우건설이 뒤를 잇는다. 이밖에 GS건설 7965가구, 롯데건설 6841가구, 현대엔지니어링 6725가구, HDC현대산업개발 5816가구, 삼성물산 3295가구, 현대건설 2908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SK건설은 올해 분양계획이 없다.
이처럼 올 상반기에 유독 한꺼번에 물량이 쏟아져 나오는 데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부동산 규제 정책과 굵직한 이슈가 많았던 지난해의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2017년부터 이어져온 부동산 정책과 함께 월드컵, 선거, 남북정상회담 등 큰 이슈가 많았던 작년 물량이 대거 밀리면서 올 상반기 유례없는 분양대전이 예상된다”며 “하지만 각 건설사와 시장상황에 따라 하반기 혹은 내년으로 연기되는 물량도 추가로 생길 수 있다”고 내다봤다.
10대 건설사 중 가장 많은 물량을 공급할 예정인 포스코건설은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2지구에서 2월 ‘남양주 더샵 퍼스트시티’의 분양을 준비 중이다. 올해 남양주의 첫 번째 더샵 브랜드 단지면서 총 1153가구의 대규모 단지다. 최근 남양주 진접 일대가 3기 신도시로 지정되며 그 수혜단지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비조정지역으로 전매 및 청약이 비교적 자유로워 실수요는 물론 투자수요의 시선까지 사로잡고 있다. 3기 신도시 발표와 함께 속도를 내고 있는 GTX-B노선을 비롯해 서울지하철 4호선 연장선과 국도47호선 우회도로 공사 등의 교통호재로 서울접근성도 한층 개선될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내달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에서 ‘검단 센트럴 푸르지오’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9층 16개동 총 1540가구로 검단신도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전용면적 75~105㎡의 다양한 면적을 제공해 수요자의 입맛에 맞춘 평면을 선보일 계획이다. 단지는 검단신도시로 연장 예정인 인천지하철 1호선 신설역(역명 미정)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대림산업은 오는 2월 안산 원곡동에서 1357가구 규모의 원곡연립2단지 재건축 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일반분양분은 426가구다.
현대엔지니어링은 부산 동래구 명륜동에서 오는 3월 ‘힐스테이트 명륜2차’의 분양에 나선다. 전용 71~118㎡의 다양한 주택형으로 구성되며 총 874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이밖에도 3월 HDC현대산업개발이 공급하는 2560가구 규모의 대전 유성 ‘도안택지개발사업지구 2-1블록(가칭)’을 비롯해 5월 부산진구에서 삼성물산이 공급하는 2616가구 규모의 ‘연지2구역 래미안(가칭)’, 부산 가야동에 롯데건설이 상반기 중 공급하는 ‘가야3구역 롯데캐슬(가칭)’, 현대건설이 5월 공급하는 1068가구 규모 ‘대구 도남지구 힐스테이트(가칭)’ 등이 분양을 준비 중이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올 상반기 10대 건설사 ‘역대급’ 분양대전 예고
기사입력:2019-01-30 10:44:4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2.00 | ▲5.39 |
코스닥 | 722.80 | ▲5.56 |
코스피200 | 339.20 | ▲0.4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462,000 | ▼556,000 |
비트코인캐시 | 529,000 | ▼2,000 |
이더리움 | 2,65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20 | ▼210 |
리플 | 3,203 | ▼5 |
이오스 | 1,031 | ▲6 |
퀀텀 | 3,170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510,000 | ▼490,000 |
이더리움 | 2,651,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30 | ▼200 |
메탈 | 1,205 | ▼14 |
리스크 | 784 | ▼4 |
리플 | 3,204 | ▼6 |
에이다 | 1,023 | ▼5 |
스팀 | 21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450,000 | ▼490,000 |
비트코인캐시 | 529,000 | ▼2,000 |
이더리움 | 2,650,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00 | ▼140 |
리플 | 3,204 | ▼6 |
퀀텀 | 3,170 | ▼20 |
이오타 | 306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