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오거돈 부산시장이 17일 오전 tbs 라디오 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김해신공항 건설은 박근혜 정부가 결정한 잘못된 정책”이라며 “이대로 밀어붙여선 안 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오 시장은 “그동안 전문 용역기관을 통해 5~6차례나 정밀 검토한 결과 매번 김해공항은 답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다. 그럼에도 박근혜 정부 당시 TK와 PK 양쪽 눈치를 보다가 뚱딴지 같이 ‘김해신공항’이라는 정치적 결론을 내렸다”며 “김해공항 확장안은 지금 정부의 정책과도 맞지 않다. 잘못된 정책은 지금이라도 과감하게 바로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어준 진행자가 “김해신공항을 계속 밀어붙이고 있는 힘의 정체가 뭔가”라고 질문하자 “박근혜 정부 당시 공항 정책을 담당했던 국토교통부 사람들이 하나도 바뀌지 않았다”고 답했다.
오 시장은 “국토부 장관 입장에서는 항공정책실장도 있고 나름 국토부 주변에 항공전문가들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의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하지만 국토부 장관이 직접 부산에 와서 새벽에 해외출장을 한 번 나가보면 문제가 뭔지 바로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해공항 확장안이 왜 대안이 될 수 없는지’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짚었다.
첫째, 소음문제다. 지금도 3천 가구 가까이 소음으로 고통 받고 있는데 김해공항을 확장하게 되면 무려 3만4천여 가구가 소음구역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안전 문제다. 오 시장은 2002년 있었던 신어산 중국민항기 추락 사고를 언급하며 공항 주변 산악 장애물 문제를 언급했다.
셋째, 군사공항으로서의 한계다. 김해공항은 군사공항이기 때문에 공항을 아무리 확장해도 슬롯 부족 등 민항기 운영이 곤란한 점을 지적했다.
넷째, 공항 확장성의 문제다. 공항 주변의 가용 토지가 부족해 확장성에 두고두고 문제가 생기고 결국 서부산의 장기적 발전을 가로 막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서울이 대한민국 발전의 중심축이라면 부·울·경도 국가 경제권의 한 축인데 500~600킬로미터나 떨어진 두 지역에 인천공항을 같이 이용하라는 건 말도 안 된다. 국가 전체 발전을 위해서도 제대로 된 동남권 관문공항을 만들어야 한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새 정부 들어 김경수 경남도지사, 송철호 울산시장을 만나 T/F팀을 만들었다. 검증단을 꾸려 국토부에 대화를 하자고 건의했지만 그 조차 되지 않고 있다”며 이 문제를 총리실에 검토해달라고 요청해놓은 상태라고 했다.
방송이 나간 뒤 주요포털 실시간 검색어 상위순위에 오거돈 시장의 이름이 오르는 등 인터뷰 내용이 큰 주목을 받았다.
당초 오 시장은 방송에서 4차 정상회담시 김정은 위원장의 부산 방문을 적극적으로 건의하려 했으나, 방송 시간상 문제로 하지 못해 못내 아쉬움을 전했다.
오거돈 시장은 “과거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부산에서부터 평화의 물결이 전 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착실하게 준비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전용모 기자 sisalaw@lawissue.co.kr
오거돈 부산시장, 김어준 뉴스공장 출연…"김해신공항 건설은 박근혜 정부 잘못"
기사입력:2018-12-17 15:44: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27,000 | ▲177,000 |
비트코인캐시 | 823,500 | 0 |
이더리움 | 6,372,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190 | ▼10 |
리플 | 4,215 | ▲29 |
퀀텀 | 3,481 | ▲3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95,000 | ▲281,000 |
이더리움 | 6,369,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230 | ▼30 |
메탈 | 1,043 | ▲6 |
리스크 | 529 | ▲2 |
리플 | 4,218 | ▲32 |
에이다 | 1,232 | ▲7 |
스팀 | 18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50,000 | ▲170,000 |
비트코인캐시 | 821,500 | ▼1,000 |
이더리움 | 6,37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9,180 | ▲60 |
리플 | 4,212 | ▲27 |
퀀텀 | 3,460 | 0 |
이오타 | 268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