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SK엔카닷컴이 주요 수입차 브랜드의 등록대수 변화를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영국차가 약 70% 늘어나는 등 수입차 등록매물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K엔카닷컴에 등록된 수입차 전체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토대로 진행했다.
올 1월부터 5월까지 등록된 각 수입차 브랜드의 등록매물을 파악한 결과 지난 2015년 같은 기간 대비 전체 등록대수는 약 26% 증가한 10만 9000대를 기록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영국 브랜드가 약 70% 늘어나 가장 큰 성장을 나타냈으며 독일차도 30% 늘어났다. 미국과 비독일계 유럽 브랜드도 거래량이 각각 17.6%, 18% 증가한 반면 일본차는 3% 감소했다.
수입차 시장을 주도하는 독일 브랜드는 5월 기준 전체 수입차의 66%를 점유하며 꾸준한 인기를 과시했다. BMW가 31% 늘어난 약 2만5000대가 등록됐으며 벤츠가 약 65% 증가한 2만2000대, 아우디는 17% 증가한 1만3000대로 나타났다. 고가·고성능 브랜드 포르쉐도 약 700대에서 1900대로 대폭 증가했다. 반면 폭스바겐은 약 12% 감소한 9500대가 등록됐다.
영국차 중에서는 미니가 약 40% 늘어난 5200대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이어서 랜드로버가 약 46% 늘어난 3300대, 재규어는 65% 증가한 2300대가 등록됐다. 또 초고가 럭셔리카 브랜드인 벤틀리(82대→206대), 롤스로이스(3대→19대), 애스턴마틴(0대→20대), 맥라렌(1대→40대) 등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미국차는 SUV 브랜드인 포드(3000대)와 지프(2300대)가 각각 약 46%, 38%로 크게 늘었고 링컨(970대) 26%, 캐딜락(780대) 20% 등도 성장했다. 반면 크라이슬러(-27%), 닷지(-8%)등은 감소했다.
독일을 제외한 프랑스, 이탈리아, 스웨덴 등의 유럽 브랜드 중에서는 푸조가 약 1800대가 등록돼 가장 높았으나 2015년 대비해서는 약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마세라티가 6.5배, 시트로엥 2.3배, 피아트는 1.5배 늘어났으며 럭셔리 스포츠카 람보르기니와 페라리도 각각 5배, 2.7배로 증가해 인기를 입증했다.
일본 브랜드는 도요타(6%), 렉서스(2%), 닛산(7%) 등이 소폭 성장했으나 인피니티(-6%), 혼다(-12%), 미쯔비시(-60%), 스즈키(-18%) 등의 브랜드들이 줄어들며 전체 등록대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홍규 SK엔카닷컴 사업총괄본부장은 “수입차 시장이 확대되며 다양한 브랜드의 여러 조건을 가진 차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신차 대비 합리적인 가격과 제조사의 품질 인증제도 등으로 신뢰도가 높아져 이를 찾는 소비자가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중고차동향] 수입차, 3년새 쾌속 증가…영국차 반란 ‘눈길’
SK엔카닷컴 분석 결과, 영국 브랜드 70% 증가 일본 브랜드 3% 감소 기사입력:2018-07-01 11:01:5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3.23 | ▲49.49 |
코스닥 | 797.70 | ▲7.34 |
코스피200 | 428.42 | ▲6.4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3,903,000 | ▲1,203,000 |
비트코인캐시 | 691,000 | ▲1,000 |
이더리움 | 3,816,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00 | ▲140 |
리플 | 3,380 | ▲24 |
퀀텀 | 2,889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3,886,000 | ▲1,286,000 |
이더리움 | 3,819,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70 | ▲130 |
메탈 | 975 | ▲1 |
리스크 | 554 | ▲5 |
리플 | 3,383 | ▲26 |
에이다 | 887 | ▲18 |
스팀 | 18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3,860,000 | ▲1,100,000 |
비트코인캐시 | 690,500 | 0 |
이더리움 | 3,819,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10 | ▲80 |
리플 | 3,383 | ▲25 |
퀀텀 | 2,891 | ▲26 |
이오타 | 232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