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르노삼성자동차가 2000년 9월 회사출범 이래 18년여 만에 누적 생산 대수 총 300만대(부산공장)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8년 9월 누적 생산 100만대, 2013년 10월 누적 생산 200만대 이후 5년여 만에 이룬 성과다. 회사 출범 후 올해 4월까지 내수물량 생산대수는 약 169만대, 수출물량 생산대수는 약 130만대에 이른다.
300만대 누적 생산 돌파는 2016년 출시한 SM6(수출명 탈리스만), QM6(수출명 뉴 꼴레오스) 등 프리미엄 모델, SM5, SM3 등 스테디셀러 모델의 지속적인 인기를 통한 내수 및 수출, 북미 수출모델인 닛산 로그 등을 통해 이루어진 성과다.
특히 QM6는 본격적인 수출길에 오른 지난해 4만3824대를 수출해 2016년 대비 7배 넘게 성장했으며 SM6 역시 2017년부터 선적하며 유럽 시장에서의 판매증대로 인한 수출 물량 증대에 일조했다.
2000년 이후 내수 및 수출물량을 포함해 부산공장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모델은 SM5로 약 94만대를 생산했다. 2위는 SM3로 약 79만대, 3위는 수출물량인 닛산 로그로 총 44만8천여대를 생산했다. 특히 지난 1998년 3월 출시된 SM5는 브랜드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 20년 넘게 판매되고 있는 베스트셀러 모델이다.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이 누적생산 300만대를 돌파하며 세계 정상 수준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것은 지속적인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한 투자, 노사를 비롯한 구성원들의 상생협력, 견조한 내수 및 해외 수출실적 성장의 결과다. 특히 부산공장은 최대 8개 차종까지 1개 라인에서 동시에 생산 가능한 ‘혼류 생산 시스템’을 적용해 유연한 생산대응이 가능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은 지난해 연 생산량 27만대를 돌파했으며, 전세계 자동차 공장에 대한 생산성 지표인 2016년 하버 리포트(Harbour Report) 평가에서 각 세그먼트별 차량 생산 평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전세계 148개 공장 중 종합 순위 8위에 올랐다.
특히 부산공장은 부산지역경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약 25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은 부산·경남지역 협력사 2만3000여명의 고용에도 기여하고 있다. 협력사들의 구매계약 규모 역시 큰 폭으로 성장해 부산∙경남 지역 협력사 매출은 2013년 674억원에서 2017년 1조3791억원으로 4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르노삼성, 출범 후 누적생산 300만대 돌파
가장 많이 생산된 모델은 SM5, 2위는 SM3, 3위는 닛산 로그 기사입력:2018-05-10 23:39:0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893,000 | ▲236,000 |
비트코인캐시 | 718,000 | ▲2,000 |
이더리움 | 3,996,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40 | ▼30 |
리플 | 3,778 | ▲6 |
퀀텀 | 3,02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772,000 | ▲173,000 |
이더리움 | 3,999,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00 | ▼70 |
메탈 | 1,039 | ▼5 |
리스크 | 580 | ▲2 |
리플 | 3,776 | ▲3 |
에이다 | 981 | ▼5 |
스팀 | 193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890,000 | ▲190,000 |
비트코인캐시 | 718,000 | ▲1,500 |
이더리움 | 3,999,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20 | ▼40 |
리플 | 3,775 | ▲2 |
퀀텀 | 3,018 | ▼29 |
이오타 | 261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