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톡톡] 가정 소득 낮을수록 중ㆍ고생 비만 가능성 더 높아?

기사입력:2018-04-23 13:47:58
[로이슈 임한희 기자] 저소득 가정의 청소년이 비만이 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중ㆍ고생이 저체중이 될 가능성은 남학생은 가정 소득이 낮을수록, 여학생은 가정 소득이 높을수록 낮았다.

23일 인제대 백병원 가정의학과팀에 따르면 2016년에 실시된 12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 참여한 전국 중ㆍ고교 총 798곳의 재학생 6만3741명의 가정 소득ㆍ부모 학력 등과 비만ㆍ저체중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한국 청소년의 체중상태 분포: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2016)는 대한임상건강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중ㆍ고 남학생에선 가정의 낮은 소득이 비만 위험을 1.14배, 저체중 위험을 1.31배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학생 비만은 남학생보다 가정 소득 수준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저소득 가정의 여학생은 비만과 과체중 위험이 각각 1.81배ㆍ1.41배 높았다. 저소득 가정의 여학생이 저체중이 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0.88배).

연구팀은 논문에서 “소득 수준이 낮은 가정의 중ㆍ고생이 비만이 될 가능성은 남녀 모두에서 더 높았다”며 “저체중 위험은 남학생에선 저소득 가정에서 자랄수록 높은 반면, 여학생에선 고소득 가정에서 자랄수록 높아 뚜렷한 성별 차이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가정의 소득 수준과 청소년 비만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회원국에서 1990∼2013년에 실시된 158개 연구 결과를 분석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소아ㆍ청소년 비만율이 높아졌다. 스코틀랜드에서 수행된 한 연구에선 사회적 박탈이 심한 지역의 어린이에서 비만 뿐 아니라 저체중 위험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고소득 가정의 어린이에 비해 저소득 가정의 어린이에서 남녀 모두 과체중 위험이 상대적으로 증가했다. 저체중 위험은 고소득 가정의 여아에서 더 높아져 이번 인제대 의대팀의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했다.

한편 우리나라 청소년의 저체중 유병률은 일본ㆍ중국 등 다른 동아시아 국가에 비해 높은 편이다. 최근 남자 청소년의 저체중 유병률은 다소 감소했으나 여자 청소년의 저체중 유병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007,000 ▲241,000
비트코인캐시 530,000 ▲3,000
이더리움 2,59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920 ▲100
리플 3,166 ▲3
이오스 969 ▼3
퀀텀 3,097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037,000 ▲155,000
이더리움 2,59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80
메탈 1,211 ▲5
리스크 789 ▲6
리플 3,169 ▲3
에이다 985 ▲2
스팀 21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05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530,500 ▲5,000
이더리움 2,59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860 ▼100
리플 3,166 ▼1
퀀텀 3,065 0
이오타 300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