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직장인들은 올해 설 연휴 지출비용으로 평균 76만원 가량을 지출할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설 선물로는 상품권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진그룹은 최근 유진기업, 유진투자증권, 동양, 유진저축은행, 나눔로또, 한국통운 등 계열사 임직원 1,372명을 대상으로 올해 설 계획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유진그룹 임직원들이 평균적으로 예상하는 설 연휴 경비는 76.4만원으로 세뱃돈, 부모님 용돈, 선물구입비, 차례비용, 교통비 등을 더한 금액이다. 이는 지난해 예상경비(74만원)보다 3.2%(2만4000원) 늘어난 것이며, 2017년 소비자물가상승률(1.9%)을 상회하는 수치로 직장인들의 명절부담이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설 세뱃돈 지출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30만원 이상’(24.9%), ‘20만원’(16.9%), ‘30만원’(16%) 순으로 응답해 설 예상 경비(76.4만원)에서 세뱃돈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미취학아동,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자녀 및 조카에게 적정한 세뱃돈 금액을 물어본 결과, 평균 1.8만원, 3.2만원, 5.1만원, 6.9만원, 9.2만원이라고 각각 답했다.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설 선물은 ‘상품권’(52.5%)과 ‘육류세트’(20.8%)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지 않는 선물은 ‘생활용품’(30.3%), ‘음료세트’(14.4%), ‘가공식품’(13.1%) 순으로 이런 선물들은 평소 자주 구매하는 것들이어서 상대적으로 반가움이 덜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명절 스트레스를 묻는 질문에는 용돈과 명절선물 등 평소에 비해 많은 지출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34.4%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과 친척들에게 들어야 하는 잔소리가 16.6%, 명절음식 준비 등 가사 노동이 7.4%를 차지했다. 이밖에 명절만 되면 일어나는 부부싸움과 배우자 눈치보기도 7.3%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귀향길에 오르는 날짜는 설 전날인 15일이 2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14일 오후가 18.3%, 설 당일 새벽이 12.8%를 차지했으며, 귀성날짜는 설 당일(25.2%), 17일 오후(17%), 18일 오후(10.1%) 순으로 설 전날 귀향해 설 당일 귀성하는 일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 명절에 고향에 가지 않는다면 가장 하고 싶은 일로는 해외여행이 36.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집에서 휴식’(32.9%), ‘문화활동’(12%), ‘국내여행’(8.6%), ‘취미활동’(8.5%) 순으로 나타나 짧은 연휴지만 여행·휴식 등을 통해 재충전을 하려는 직장인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진그룹 관계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임직원들의 명절에 대한 생각을 듣기 위해 매년 자체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리후생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직장인 올해 설날에 평균 76만원 지출
기사입력:2018-02-07 09:07:4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001,000 | ▼335,000 |
비트코인캐시 | 527,000 | ▼1,500 |
이더리움 | 2,603,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40 | ▼70 |
리플 | 3,145 | ▼14 |
이오스 | 1,060 | ▼12 |
퀀텀 | 3,137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26,000 | ▼404,000 |
이더리움 | 2,606,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60 | ▼80 |
메탈 | 1,188 | ▼4 |
리스크 | 768 | ▼4 |
리플 | 3,142 | ▼18 |
에이다 | 1,005 | ▼10 |
스팀 | 21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40,000 | ▼320,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1,000 |
이더리움 | 2,602,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30 | ▼110 |
리플 | 3,144 | ▼13 |
퀀텀 | 3,150 | ▲4 |
이오타 | 30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