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롯데마트의 완구 카테고리 킬러형 특화매장인 토이저러스가 체질 개선에 나선다.
최근 완구 시장은 혼인율 및 출산율 저하, 스마트폰의 보급 등에 따라 전통적인 완구 매출이 감소하고 있으며, 온라인 마켓의 성장에 따라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특정 인기 상품의 경우 물량 확보가 어려운 등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3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토이저러스를 ‘하비(Hobby) 중심의 독점 제안매장(Monopolistic Supplier)’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기존 유아동 중심 완구 카테고리는 전략적으로 축소하며 피규어, 프라모델, 드론 등 신규 카테고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실제로, 롯데마트가 올해 11월까지 완구 매출을 살펴보니 전체 매출은 7% 가량 감소한 가운데, 신생아완구, 유아완구, 봉제인형 등 전통적인 완구 카테고리의 매출은 두 자리수로 줄어든 반면, 피규어, 프라모델, 드론 등 카테고리의 매출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마트는 우선, 피규어 카테고리를 세분화 해 이를 애니메이션 굿즈(Goods), 팬 굿즈, 게임 굿즈, 무비 굿즈로 나누고 단계적으로 단독 상품을 중심으로 한 신상품들을 출시할 계획이다.
실제로, 지난 7월 24일부터 8월 7일까지 롯데마트가 단독으로 예약판매를 진행해 총 2,000개 가량 판매된 로보트 태권브이와, 10월 2일 전문가용으로 500개 한정 예약판매를 진행해 이틀 만에 완판 한 61cm ‘THE 태권브이’가 대표적인 단독 애니메이션 굿즈로 분류된다.
또한, 8월에는 팬 굿즈인 ‘워너원(Wanna One) 11인 피규어(4인치) 세트’를 단독 판매해 팬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는 등 피규어 시장의 잠재력을 재차 확인했다.
김보경 롯데마트 하비(Hobby)부문장은 “피규어를 시작으로 국내 최대 완구 카테고리 킬러형 특화매장인 토이저러스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라며, “향후 프라모델 전문 매장, 모바일 및 온라인 게임 아이템 확대하는 등 하비를 중심으로 하는 독점 제안매장으로 지속 키워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마트 토이저러스는 지난달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엔씨소프트에서 2012년 출시한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인 ‘블레이드 & 소울’의 피규어 ‘B&S TOY Vol.2’를 토이저러스몰과 토이저러스 잠실점, 은평점 등 전국15개 점포에서 단독으로 한정 판매한다.
‘블레이드 & 소울’의 주요 캐릭터인 '포화란', '해무진', '주리아', '남소유', '어린 서연' 피규어 5개가 세트로 구성된 ‘블레이드 & 소울 Vol.2 인연의 끈 세트’를 20만원에, 캐릭터 피규어 1개는 각 4만원에 선보인다.
구매자들에게 보너스 상품으로 ‘블레이드 & 소울’ 아이템(신석)이 담긴 게임 쿠폰을 모두 증정하며, 오프라인 토이저러스 매장에서 구매 시 ‘블레이드 & 소울’의 브로마이드도 추가로 증정한다.
특히, ‘블레이드 & 소울’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도감(B&S TOY BOOK) 카테고리에 구매한 피규어를 등록할 수 있으며, Vol.2 피규어 5종을 모두 등록한 게임 이용자에게는 게임 아이템('이별' 의상, '기억' 머리장식, '주리아' 수호령)을 추가로 증정한다.
이밖에, 엔씨소프트의 미니게임 '토이런'에 피규어를 추가해, 자신이 구매한 피규어 캐릭터를 조종하며 러닝 액션 게임도 즐길 수 있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롯데마트, "토이저러스 변신의 선봉엔 피규어 있다!"
피규어, 프라모델, 드론 카테고리 매출 늘고, 피규어 시장 잠재력 재차 확인 기사입력:2017-12-03 10:51:4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58,000 | ▼142,000 |
비트코인캐시 | 666,000 | ▼1,000 |
이더리움 | 3,441,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00 | ▼40 |
리플 | 3,029 | ▼7 |
퀀텀 | 2,658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53,000 | ▼87,000 |
이더리움 | 3,439,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00 | ▼10 |
메탈 | 908 | ▼4 |
리스크 | 510 | ▼1 |
리플 | 3,027 | ▼9 |
에이다 | 783 | ▼3 |
스팀 | 17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5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666,000 | ▲500 |
이더리움 | 3,439,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60 | ▲110 |
리플 | 3,028 | ▼8 |
퀀텀 | 2,651 | ▲4 |
이오타 | 2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