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재승 기자] 한국뇌졸중재활코호트연구단과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예방재활센터는 오는 11/24(금) 오후1시부터 코엑스그랜드볼룸 104호에서 ‘2017년 뇌졸중 재활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한국뇌졸중재활코호트 연구단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의 지원으로 2012년부터 ‘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 동안 국내에서 8,000명 이상의 초발뇌졸증 환자를 모집했으며, 2년 이상 추적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심포지엄을 개최하게 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뇌졸중 후 장기적 기능회복-인공지능 활용 빅데이터 분석 △심뇌혈관질환 관리 종합대책과 뇌졸중 코호트의 역할 △뇌졸중 후 치매 발생 현황 등 세 세션으로 진행되며 관련 전문 의료진들의 발표 및 전문가들의 토의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한국뇌졸중재활코호트연구단 연구총괄책임인 김연희 교수(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우리나라 뇌졸중 재활 현황을 공유하고, 더 나아가 뇌졸중 환자 삶의 질을 향상시킬 많은 의견 교환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경희의과학연구원 동서의학연구소, ‘2017 국제 심포지엄’ 성료
경희의과학연구원 동서의학연구소(소장 고성규)가 지난 13일(월) 경희대학교 한의과학사업단과 공동으로 ‘2017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의학 연구의 새 패러다임을 논하다.’를 주제로 국내외 학자들의 초빙 강연으로 꾸며졌다.
이태원 경희의과학연구원장,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암치료 분자타겟으로의 STAT3(Gautam Sethi 교수, 싱가폴국립대) ▲ TNF수용체를 타겟으로하는 항암 면역치료제개발(지현배 박사, 미국 AMBRX 제약회사) ▲유방암보존술의 3D프린팅기술과 AI의 응용(고범석 교수, 아산병원) ▲ 핵수용체 NR2E3의 암에서의 새로운 기능(김경현 교수, 미국 신시내티대학) 순으로 강연이 진행됐다.
동서의학연구소 고성규 소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전통의학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류하고 연구를 협력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면서 “동서의학연구소가 WHO전통의학센터로서 국내외 전통의학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발판 마련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양대병원, 오는 12월 1일 ‘이식 환우를 위한 건강강좌’ 개최
한양대학교병원(원장 이광현)은 오는 12월 1일 본관 3층 강당에서 ‘이식 환우를 위한 건강강좌’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장기이식센터장 최동호 외과 교수는 “이번 강좌는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환우 및 이식 후 건강관리에 관심이 있는 환우와 보호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건강강좌를 개최했다”면서 “특히 이식 전후 관리와 이식환자의 당뇨관리, 영양관리, 투약관리 등 장기 이식에 관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이번 강좌를 마련했다”라고 말했다.
이날 건강강좌는 박정환 내분비대사내과 교수가 ‘이식 후 당뇨관리’, 김근호 신장내과 교수가 ‘신장이식 전 관리’, 이창화 신장내과 교수가 ‘신장이식 후 관리’, 오유나 영양팀 영양사가 ‘이식환자의 영양관리’, 남재현 약제팀 약사가 ‘이식환자의 투약관리’를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이번 건강강좌는 장기이식에 관심 있는 환우 및 가족,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강좌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장기이식센터로 연락하면 된다.
이재승 기자 jasonbluemn@lawissue.co.kr
[메디컬단신] 삼성서울병원 ‘2017년뇌졸중 재활 정책 심포지엄’ 개최 外
기사입력:2017-11-20 12:24:1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001,000 | ▼426,000 |
비트코인캐시 | 504,000 | ▼1,000 |
이더리움 | 2,595,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90 | ▼70 |
리플 | 3,048 | ▼12 |
이오스 | 1,004 | ▼17 |
퀀텀 | 2,999 | ▼3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040,000 | ▼517,000 |
이더리움 | 2,59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80 | ▼70 |
메탈 | 1,136 | ▼5 |
리스크 | 720 | ▼4 |
리플 | 3,047 | ▼16 |
에이다 | 945 | ▼9 |
스팀 | 205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050,000 | ▼420,000 |
비트코인캐시 | 504,500 | ▲500 |
이더리움 | 2,594,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30 | 0 |
리플 | 3,046 | ▼13 |
퀀텀 | 3,036 | 0 |
이오타 | 29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