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포르쉐가 오는 2019년부터 국제자동차연맹(FIA)이 개최하는 전기차 경주대회 ‘포뮬러 E’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최근 대회 3연패의 탁월한 성과를 거둔FIA 세계 내구 챔피언십 LMP1 클래스는 2017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참가를 중단한다. 이로써 포르쉐는 국제 GT 레이싱에 집중하며 르망 24시 대회의 하이라이트 FIA 세계 내구 챔피언십 GT 클래스는 물론 미국 IMSA 웨더테크 스포츠카 챔피언십, 장거리 클래식 대회에서 활약했던 911 RSR 모델을 사용하는 모터스포츠 전략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포르쉐 모터스포츠 전략의 재조정은 ‘포르쉐 전략 2025’의 일환이다. ‘포르쉐 전략 2025’는 GT 차량과 전기구동 스포츠카의 장점을 결합한 포르쉐 최초의 순수 전기 스포츠카 ‘미션 E’ 개발을 목표로 한다.
포르쉐 AG R&D 총괄 마이클 슈타이너(Michael Steiner)는 “포뮬러 E 대회에 참가해 성공하는 것은 미션 E에 기대되는 당연한 결과물이 될 것”이라며 “포르쉐의 기술 개발에 대한 자유도가 높아지면서 포뮬러 E는 우리에게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다”고 설명했다.
또 “대체 가능한 혁신적인 드라이브 콘셉트를 개발하고 있는 포르쉐에게 포뮬러 E는 친환경, 효율성 및 지속가능성을 충족하는 고성능 차량을 개발하는데 있어 완벽하게 경쟁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포르쉐는 이미 ‘포뮬러 E’에 참가하는 레이싱카 개발 첫 단계에 돌입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포르쉐는 GT 클래스를 더욱 강화한다. 슈타이너는 “대회에 참가하는 제조사들이 다양해지고 WEC 및 IMSA 대회 수준도 높아짐에 따라 포르쉐는 911 RSR 모델 활용에 집중하게 됐다”며 “우리는 최고가 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그에 맞는 투자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르망 24시 대회 3년 연속 우승과 월드 챔피언십에서 2015년과 2016년 각각 팀 및 드라이버 타이틀을 확보한 4년간의 성공적인 성과를 뒤로하고, 포르쉐는 이제 LMP1 클래스 참가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작(Weissach) 팀은 두 번의 월드 챔피언십에 이어 또 한번 타이틀에 도전한다. 올 시즌은 11월 18일 바레인에서 끝날 예정이다.
2014년 포르쉐가 성공적으로 모터스포츠에 귀환할 수 있도록 이끈 포르쉐 LMP1 부사장 프리츠 엔칭어(Fritz Enzinger)는 “다시 처음부터 르망 팀을 키워내는 일은 정말 큰 도전이었다”며 “지난 몇 년간 믿을 수 없는 성공과 프로페셔널 팀을 만들어냈고 이는 포르쉐가 모터스포츠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르쉐는 성공적인 LMP1 팀을 팩토리 드라이버(Factory drivers)까지 포함해 그대로 유지할 예정이다. 또 포르쉐는 다른 레이싱 대회와 포뮬러 E에 집중하는 동시에 또 다른 개발 분야까지 검토하고 있다.
포뮬러 E는 2014년 9월 13일 출범한 세계 최초의 순수 전기차 레이싱 대회다. 포뮬러 1 대회를 총괄하는 국제자동차연맹은 E-모빌리티(electromobility)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젊은 세대들의 모터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본 대회를 기획했다.
포뮬러 E 시즌은 다른 레이싱 대회와 달리 가을에 시작해 여름에 끝이 난다. 대회 장소는 관중들이 대회 장소에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대회가 관중을 찾아가는 것을 콘셉트로 전 세계 대도시의 중심부에 별도로 고안된 일반 도로 서킷에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포르쉐, FIA 전기차 경주대회 ‘포뮬러 E’ 참가
새로운 모터스포츠 전략으로 전기차 및 GT 클래스 분야 주력 기사입력:2017-07-28 19:49:1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38,000 | ▼5,000 |
비트코인캐시 | 693,000 | ▲500 |
이더리움 | 3,998,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70 | ▲50 |
리플 | 3,716 | ▼4 |
퀀텀 | 3,065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55,000 | 0 |
이더리움 | 3,998,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10 | ▲90 |
메탈 | 1,066 | ▲3 |
리스크 | 613 | ▲8 |
리플 | 3,717 | ▼5 |
에이다 | 962 | ▲1 |
스팀 | 19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77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693,000 | ▲1,500 |
이더리움 | 3,996,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80 | ▲90 |
리플 | 3,717 | ▼4 |
퀀텀 | 3,053 | 0 |
이오타 | 25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