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법률전문 인터넷신문]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회장 장주영, 민변)은 19일 국회와 임명권자인 대통령을 향해 “헌법재판관 임명절차를 개선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민변은 이날 성명을 통해 “헌법재판소는 헌법을 수호하고, 기본권을 보장하며, 권력을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 받고 있다”며 “그러나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위상에도 불구하고 이번 헌법재판관 5명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는 임명 및 검증 절차에 많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민변은 “헌법재판은 우리 사회의 헌법분쟁이 갖는 이념적 특성을 감안해 볼 때 무엇보다 다원적 이해관계를 가진 국민들의 다양한 가치관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며 “그러나 대법관 인선과 마찬가지로 헌법재판관 후보자도 대부분 직업 법관 출신의 인사들로 구성돼 있고, 심지어 도덕성 흠결이 큰 공안검사 출신도 포함돼 있어 우려스럽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 구성에서 다양한 가치관이 반영되고 헌법적 가치가 실현되기 위한 조건을 제시했다.
민변은 첫째 “헌법재판관 임명의 폐쇄성을 극복하고 개방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헌법 수호 의지와 인권의식이 투철한 재야법조인이 임명돼야 할 뿐만 아니라, 헌법재판관의 자격인 ‘법관의 자격’을 완화함으로써 법조인이 아닌 다양한 직역의 인사도 임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헌법재판관 지명 절차의 흠결도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헌법재판관은 대통령ㆍ국회ㆍ대법원장이 3명씩 지명하도록 돼 있다. 그런데, 지명 과정에서 공개적인 여론 수렴 절차가 전혀 없고 개인의 철학이나 신념 및 사전에 기본적인 도덕성을 검증하는 절차조차도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민변의 판단이다.
민변은 “그나마 대법관의 경우 형식적이나마 제청권을 가진 대법원장이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후보자를 추천받는 것과 비교하면, 사실상 지명권자의 의중대로 밀실에서 헌법재판소의 구성원이 결정되는 것과 다름없다”며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이 다양한 여론 수렴 및 사전적인 검증을 위해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이루어지도록 임명절차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셋째, 인사청문회의 실질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민변은 “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뒤에야 이뤄지는 국회의 검증 절차는 주로 위장전입, 탈세, 병역문제 등 기본적인 도덕성 검증에 상당 부분이 할애돼 정작 후보자의 자질이나 헌법관 및 기본권 수호의지는 제대로 검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민변은 “헌법재판소는 우리 사회의 헌법적 가치를 실현하는 최고기관으로 다양한 생각들이 부딪치고 논의되면서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며 “획일적이고 편향된 견해를 가진 인선으로 구성된 헌법재판소가 시대의 가치와 철학을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법률 해석에 능숙한 고위법관들이 재판하는 곳으로 변질된다면 본연의 임무수행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회와 임명권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헌법재판소 구성 방법을 개혁하여 획일적이고 편향적인 인선이 반복되지 않도록 관련법과 제도를 재정비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민변 “헌법재판관 밀실 결정…임명절차 개선하라”
“헌재가 단순히 법률 해석에 능숙한 고위법관들이 재판하는 곳으로 변질” 기사입력:2012-09-19 16:41:5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30,000 | ▼21,000 |
비트코인캐시 | 681,500 | ▼1,000 |
이더리움 | 3,552,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00 | ▲30 |
리플 | 3,139 | ▼1 |
퀀텀 | 2,733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02,000 | ▲33,000 |
이더리움 | 3,551,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00 | ▲50 |
메탈 | 943 | ▲2 |
리스크 | 536 | ▲7 |
리플 | 3,137 | ▼1 |
에이다 | 801 | ▼1 |
스팀 | 18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27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679,500 | ▼2,000 |
이더리움 | 3,55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060 | 0 |
리플 | 3,139 | ▼1 |
퀀텀 | 2,734 | 0 |
이오타 | 21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