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변호사협회 하창우 공보이사는 “로스쿨은 고액의 학비와 고졸 출신에게는 법조인이 될 기회조차 주지 않는 등 인생의 진입 장벽일 뿐이어서 가진 자들의 출세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할 위험을 안고 있는 양극화를 조장하는 사법제도”라고 사실상 로스쿨 도입반대 입장을 나타났다.
하창우 공보이사(변호사)는 30일자 중앙일보 시론에 기고한 ‘갈등 조장하는 사법양극화 대책’이라는 글에서 먼저 “노무현 정부가 양극화 해소를 내세워 국정을 운영하는 사이 양극화의 골이 깊어 가는 곳이 있다”며 “바로 사법 분야”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하 공보이사는 이어 “가진 자로부터 세금을 거둬 못 가진 자에게 나눠주는 것이 계급적·포퓰리즘적 경제정책이라면, 못 가진 자에게 좀 더 많은 권리보장의 기회를 주는 것은 형평을 추구하는 사법정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민을 소득계층 상위 20%와 하위 80%로 구분하는 양분법이 표를 얻기 위한 정략적 계산이라면, 강자보다 약자에게 더 많은 몫을 주는 것은 정의를 얻기 위해 법이 가야 할 길”이라며 “갈등과 대립의 정치가 수면 위로 정체를 드러내 보이는 지금 보이지 않는 수면 아래에서는 불평등과 불의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 공보이사는 “가진 자의 ‘유전무죄’와 못 가진 자의 ‘무전유죄’는 평등을 생명으로 여기는 사법에 정의가 무너져 있음을 말해준다”며 “사법의 모습이 강한 자에게는 약하고, 약한 자에게는 강하다면 가지지 못한 자에게 상대적 박탈감과 불신의 분노를 키우게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지위의 높고 낮음이나 돈의 많고 적음에 따라 사법이 불공정하다는 대다수 국민의 의식에는 검찰과 법원 모두에 대한 원망이 배어 있다”고 진단했다.
하 공보이사는 그러면서 천정배 법무부장관을 겨냥했다. 그는 “천 장관은 23일 ‘대우그룹 분식회계의 규모가 미국 월드컴에 비해 훨씬 컸지만 사장 한 사람이 5년형을 선고받은 게 고작이었’다며 마치 검찰은 잘못이 없는 것처럼 법원을 공개 비판했다”며 “하지만 정작 두산그룹 분식회계와 횡령 사건에서 책임자들을 불구속 기소한 것은 검찰이었으니 ‘네 탓’으로 돌릴 일이 아니다”고 비꼬았다.
물론 법원도 예봉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그는 “‘전관예우’는 바로잡아야 하는데 고위직 법관 출신의 변호사가 사건을 부탁할 때가 가장 힘든 순간이었다는 어느 법관의 공개 고백이 심각성을 일깨운다”며 “법관이 법과 양심에 따라 심판하지 않고 전관의 부탁에 영향을 받는다면 오해나 불신은 피할 수 없고, 법관의 독립은 이미 상실된 것과 다름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특히 하 공보이사는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도 양극화를 조장하는 사법제도”라고 우려하면서 사실상 로스쿨 도입 반대의사를 나타났다.
그는 “지금 많은 대학은 로스쿨 유치에 사활을 걸고 법학전문도서관, 모의법정 등 시설 구축을 위해 고층건물을 짓는 데 수 백억 원씩 쏟아 붓고 있다”며 “그 결과 연간 2000만원이 넘는 고액 수업료를 내야 로스쿨 진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로스쿨 3년간 6000만원이나 1억원 정도의 대가를 지불해야 변호사가 될 수 있고 또 고교 졸업자에게는 판·검사는 물론 변호사가 될 기회조차 주지 않는다”며 “가지지 못한 자에게 로스쿨은 인생 진입의 장벽일 뿐이어서 로스쿨은 가진 자들의 출세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할 위험을 안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로스쿨 찬성론자들이 도입 목적으로 내세운 질 높은 법학교육과 국제경쟁력 강화는 양극화를 감추기 위한 허구였음을 일본 로스쿨의 실패 사례에서 읽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하 공보이사는 “서민을 위한 정권이라면 사법에 있어서 사회적 소수와 약자의 고통을 해소해야 한다”며 “형량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양형위원회’ 제도를 만들거나, 법관 앞에서 ‘구술변론’을 강화하는 것만으로 양극화를 해결할 수 없고 또한 사법의 양극화는 가진 자의 것을 빼앗아 못 가진 자에게 나눠주는 식으로나, 현 정권이 서민의 편이라는 도식적 이미지 만들기로도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정부의 사법개혁에는 지난해 8.31 부동산 종합대책을 내놓으면서 선전한 ‘초정밀 유도탄’ 같은 대책이 없고 오히려 대립과 분열을 조장하는 제도를 만들고, 갈등 해결에는 너무 미약한 방안만 놓여져 있으니 사법개혁은 국민의 불신을 그대로 안고 있는 셈”고 일침을 가했다.
하 공보이사는 끝으로 “법무장관이 ‘경제 양극화로 인한 서민들의 고통에 사법 양극화가 고통을 더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면 갈등을 조장하는 제도는 과감히 버려야 하고, 서민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충고했다.
변협 하창우 공보이사 “로스쿨은 가진 자 출세 수단”
로스쿨은 인생 진입 장벽…양극화 조장하는 사법제도 기사입력:2006-03-30 11:07:4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37.02 | ▼3.55 |
코스닥 | 734.94 | ▼4.11 |
코스피200 | 351.61 | ▼0.1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677,000 | ▼391,000 |
비트코인캐시 | 567,000 | ▼3,000 |
이더리움 | 3,682,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010 | ▼180 |
리플 | 3,591 | ▼23 |
이오스 | 1,110 | ▼20 |
퀀텀 | 3,527 | ▼2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673,000 | ▼406,000 |
이더리움 | 3,680,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000 | ▼180 |
메탈 | 1,255 | ▼2 |
리스크 | 796 | ▼5 |
리플 | 3,591 | ▼19 |
에이다 | 1,126 | ▼10 |
스팀 | 22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630,000 | ▼440,000 |
비트코인캐시 | 567,000 | ▼2,000 |
이더리움 | 3,682,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000 | ▼170 |
리플 | 3,590 | ▼22 |
퀀텀 | 3,545 | 0 |
이오타 | 33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