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국민연금이 홈플러스 사태로 최대 약 9000억원의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 가운데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측은 국민연금이 상환전환우선주(RCPS) 투자액 중 절반 이상을 이미 회수했다고 반박했다.
2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2025 국정감사 이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는 2015년 10월 홈플러스를 인수하며 국민연금으로부터 6121억 원의 자금을 투자받았다.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의 투자액 중 보통주 295억원과 상환전환우선주(RCPS) 5826억원이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할 경우 상환받지 못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RCPS의 가치 평가에 따라 현재 MBK로부터 받아야 할 금액이 약 9000억 원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MBK측은 국민연금의 RCPS 5826억원 중 3131억 원이 지난 10년간 배당 등으로 회수되었으며, 현재 미회수 원금은 2696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투자 과정에서 MBK파트너스가 받은 보수는 총 1억 원으로, 국민연금의 RCPS 투자 규모를 감안할 때 제한적인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MBK측은 “국민연금은 MBK파트너스의 블라인드 펀드인 3-2호 펀드에도 출자했다”라며 “해당 펀드는 홈플러스 보통주를 비롯해 오렌지라이프, 두산공작기계, 아펙스로지스틱스 등 7개 이상의 기업에 투자했다”라고 전했다.
또 “국민연금은 홈플러스 관련 보통주(295억 원)를 포함해 총 1575억원을 투자했으며, 지금까지 3400억원을 회수하여 원금 대비 약 2.2배의 수익률을 달성했다”라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최근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의 인가 전 M&A 성사를 위해 보통주 2조5000억원 규모를 무상소각하기로 결정하면서 국민연금의 홈플러스 보통주 투자금 295억원은 전액 손실 처리된다”면서도 “홈플러스를 제외한 다른 투자에서 성과가 뒷받침된 덕분에, 국민연금의 MBK파트너스 3-2호 펀드 전체 수익률은 여전히 원금 대비 2배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국민연금, 홈플러스 사태로 9000억 손실 우려에 MBK “RCPS 투자액 절반 이상 회수”
기사입력:2025-09-23 23:12:3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81.15 | ▲70.74 |
| 코스닥 | 901.59 | ▼1.71 |
| 코스피200 | 571.51 | ▲12.0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485,000 | ▲472,000 |
| 비트코인캐시 | 835,500 | ▼1,500 |
| 이더리움 | 5,889,000 | ▲1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280 | ▼220 |
| 리플 | 3,891 | ▲18 |
| 퀀텀 | 2,979 | ▼1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569,000 | ▲385,000 |
| 이더리움 | 5,891,000 | ▲1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290 | ▼210 |
| 메탈 | 720 | ▼1 |
| 리스크 | 319 | 0 |
| 리플 | 3,892 | ▲21 |
| 에이다 | 975 | ▼1 |
| 스팀 | 134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430,000 | ▲350,000 |
| 비트코인캐시 | 835,500 | ▼2,000 |
| 이더리움 | 5,89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290 | ▼200 |
| 리플 | 3,891 | ▲17 |
| 퀀텀 | 2,983 | 0 |
| 이오타 | 217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