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미트박스’(대표 서영직, 김기봉)는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상생경영의 일환으로 모든 고객의 클레임에 대해 판매자를 거치지 않고 미트박스가 직접 응대하는 프로세스를 구축,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미트박스는 판매자와 고객이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 고객 신뢰도를 강화하고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또한, 미트박스는 사업자 고객들을 대상으로 제품 구매 시 일정 금액의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미트포인트’ 제도를 이달부터 도입했다. 본 상품 구매 전 무료 혹은 저렴한 가격으로 세절고기, 가공식품 등 식당에서 많이 구매하는 상품들을 먼저 이용해 볼 수 있는 ‘샘플존’의 상품들을 대폭 확대했으며, 판매량, 상품평 및 평점을 기준으로 약 400여개 이상의 최상위 제품만 별도로 선보이는 ‘품질보증관’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식당 사업자를 대상으로 회원가입 시 등록한 메뉴 정보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메뉴별 상품추천 서비스와 재고 보관공간이 부족한 사업자 고객에게 미트박스 창고 공간을 임대해주는 마이박스 서비스 등 다양한 고객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미트박스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영직 미트박스 대표이사는 “국내 최대 축산물 직거래 플랫폼으로서 업계를 리드하고, 소상공인들과 상생발전을 위해 신속한 고객응대 프로세스 및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라며 “이에 더해 향후 자사 플랫폼 내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상공인에게 최적의 가격을 알려주는 ‘미트박스 지수’를 개발 중으로, 고객 편의를 위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트박스는 축산물 생산자와 식당, 정육점이 직접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축산물 직거래 플랫폼으로, 복잡한 유통 단계를 획기적으로 줄여 일반 도매가 대비 20~30% 이상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축산물 관련 시세 및 공급 가격구조 관련 정보를 고객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기존 B2B 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투명한 축산물 유통 시장 형성에 앞장서고 있다. ‘상생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한 미트박스는 2021년 12월 기준 누적 거래액 1조원을 돌파, 누적 앱 다운로드수는 25만건을 넘어섰다. 이와 같은 성장성과 높은 잠재력을 인정받아 소프트뱅크벤처스와 알토스벤처스, IMM인베스트먼트 등의 투자자로부터 현재까지 총 260억원대의 투자 유치를 받았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미트박스’, 더 빠른 고객응대 및 혜택 확대로 ‘상생경영’ 박차
기사입력:2022-07-20 09:27:1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09,000 | ▼74,000 |
비트코인캐시 | 700,000 | ▼500 |
이더리움 | 4,012,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20 | 0 |
리플 | 3,747 | ▼26 |
퀀텀 | 3,09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21,000 | ▼278,000 |
이더리움 | 4,007,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70 | ▼70 |
메탈 | 1,103 | ▲6 |
리스크 | 648 | ▲39 |
리플 | 3,747 | ▼23 |
에이다 | 964 | ▼9 |
스팀 | 203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33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699,500 | ▼500 |
이더리움 | 4,010,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90 | ▼40 |
리플 | 3,745 | ▼31 |
퀀텀 | 3,115 | ▲15 |
이오타 | 257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