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에 청약 통장이 몰리고 있다. 추첨제 비중이 높은 중대형 면적 청약을 통해 가점이 낮은 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에 나서고있는 것이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기준 올해(1월~10월, 1순위 청약 접수일 기준) 분양된 아파트의 청약자 수를 분석한 결과 청약자가 가장 많이 몰린 상위 10곳 중 8곳이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별로 살펴보면 지난 5월 대방건설이 경기 화성시에 분양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는 전용면적 102.98㎡ 71가구 모집에 10만7,508명이 청약에 접수했으며, 7월 GS건설이 세종시에 분양한 ‘세종자이 더 시티’는 전용면적 101.82㎡ 384가구 모집에 7만883명의 청약자가 모였다. 9월 DL이앤씨가 서울 강동구에 분양한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 역시 보기 드문 서울 추첨제 물량으로 주목받으며 전용면적 101.04㎡ 48가구 모집에 3만133개의 청약 통장이 몰렸다.
현재 투기과열지역에서 공급되는 전용면적 85㎡ 이하의 민영주택은 100% 가점제가 적용되며 청약과열지역에서는 가점제 75%를 적용해 당첨자를 선정한다. 이에 따라 가점이 낮은 수요자는 청약 당첨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상황이다.
반면 투기과열지역에서 공급되는 전용면적 85㎡ 초과 면적은 추첨제 50%를 적용하고 청약과열지역에서는 추첨제 70%로 당첨자를 선정한다. 투기과열지구와 청약과열지역 이외의 지역에 공급하는 전용면적 85㎡ 초과 주택의 경우 추첨제 100%가 적용된다.
추첨제 물량을 노리는 청약자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올해(1월~10월) 전국에서 청약 접수를 받은 민간분양 아파트 일반공급 물량의 가점(청약홈 기준) 평균은 33.8점으로 2019년 평균 가점(27.3점) 보다 약 23% 상승하는 등 청약 가점 커트라인도 해가 지날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대형 면적의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연내 중대형 면적을 갖춘 신규 단지가 공급돼 수요자 관심이 몰리고 있다.
대우건설은 11월 대구광역시 동구에 짓는 ‘동대구 푸르지오 브리센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16층, 13개동, 전용면적 78~112㎡, 총 794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혜림건설은 11월 광주 북구에 짓는 ‘센트럴운암 모아엘가 트레뷰’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33층, 3개동, 전용면적 84~114㎡, 총 303가구 규모다.
금성백조는 11월 충남 아산탕정 택지개발지구 2-A3블록에 후분양 아파트로 내년 11월 입주가 가능한 ‘탕정역 예미지’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최고 32층, 8개 동, 전용면적 74~102㎡, 총 791가구로 조성된다. 제일건설은 11월 전북 남원시에 공급하는 ‘남원2차 오투그란데 디아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15층, 6개동, 전용면적 59~138㎡, 총 226가구 규모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청약자, 올해 중대형에 몰려…신규 분양 기대감 ‘UP’
기사입력:2021-11-18 16:53:4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0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681,000 | ▲500 |
이더리움 | 3,549,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50 | ▼10 |
리플 | 3,136 | ▼2 |
퀀텀 | 2,732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298,000 | ▲148,000 |
이더리움 | 3,546,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40 | ▼40 |
메탈 | 940 | ▼2 |
리스크 | 533 | ▲3 |
리플 | 3,135 | ▼2 |
에이다 | 801 | 0 |
스팀 | 17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10,000 | ▲40,000 |
비트코인캐시 | 679,500 | ▲1,000 |
이더리움 | 3,547,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00 | ▲40 |
리플 | 3,137 | ▼4 |
퀀텀 | 2,734 | 0 |
이오타 | 21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