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공급부족으로 인기지역에 분양하는 아파트 당첨이 하늘의 별 따기가 되면서 청약통장 필요 없는 주거형 오피스텔이 아파트 대체 주거상품으로 인기를 끄는 분위기다.
부동산114 렙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71개 단지 총 2만6,259가구(일반분양 기준)가 분양됐다. 이는 최근 3년 중 가장 적은 물량이 공급된 수치로, 2019년 3만4329가구, 2020년 3만21가구로 모두 3만가구 이상이 공급됐지만 올해는 이전 공급 물량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공급이 부족해지다 보니 수도권 내 아파트 청약경쟁률은 천정부지로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청약경쟁률은 2017년 7.7대 1을 기록한 이후 △2018년 13.35대 1 △2019년 13.6대 1 △2020년 36.67대1로 매년 경쟁률이 치열해졌다. 올 8월까지의 청약경쟁률 역시 약 30대 1로 높은 수치를 기록 중이다. 당첨 가점 커트라인도 2017년 31.2점에서 △2018년 32.7점 △2019년 33.8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2020년 41.2점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는 수도권 평균 가점이 43.2점을 기록하며 전국 평균(33.8점)을 상회하고 있다.
이처럼 인기지역 내 아파트 분양이 갈수록 어려워지면서 아파트 주거대안으로 주거형 오피스텔의 인기가 높아지는 모양새다. 아파트와 달리 만 19세 이상이라면 주택 소유, 청약통장 여부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청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약 가점 등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2030세대 청약 포기자들이 주거형 오피스텔에 관심을 가지면서 분양시장이 활황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에서 분양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는 평균 82.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타입 마감됐다. 지난달 경기도 고양시 일산신도시와 남양주시 다산신도시에서 선보인 ‘더샵 일산엘로이’와 ‘다산역 데시앙’ 역시 각각 15.8대 1, 16.9대 1를 기록하며 청약을 마감했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 및 수도권 신도시 등 인기지역에서 공급하는 아파트는 높은 청약경쟁으로 가점이 낮은 젊은 세대들에겐 그림의 떡”이라며 “반면 주거형 오피스텔은 까다로운 아파트 대비 청약이 유리한데다 아파트와 비슷한 설계와 단지구성 적용으로 아파트 대체주거지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아파트 청약 당첨이 어렵게 되면서 수도권 지역에서 공급 예정인 주거형 오피스텔에 수요자들이 몰려들 전망이다.
포스코건설은 오는 10월 인천광역시 연수구에서 ‘더샵 송도엘테라스’를 공급할 계획이다. 오피스텔은 전용 84㎡ 단일 구성에 전 호실 대형테라스가 적용되는 것이 특징으로, 지하 2층~지상 17층, 총144실 규모다. 일반적인 오피스텔에서 선보였던 테라스들보다 더욱 넓은 면적으로 실용성이 높을 전망이며, 일부 호실에는 대규모의 세대 마당도 제공된다. 오피스텔과 함께 상업시설도 들어설 예정으로 지상 1층~2층, 81실로 구성되며 트리플스트리트와 인접해 있어 상권 연계 시너지도 기대된다.
같은 달 대우건설도 인천 서구에 주거형 오피스텔 ‘연희공원 푸르지오 라-끌레르’를 공급할 계획이다. 전용 53~82㎡ 총 985실 규모다. 연희공원, 공촌천, 아라뱃길, 베어즈베스트GC가 인접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자랑한다.
10월 롯데건설은 경기도 고양시에 조성되는 주거용 오피스텔에 ‘새로운 도심형 주거 브랜드 ‘루미니’ 브랜드를 적용해 ‘고양 화정 루미니’를 공급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24층, 전용 77·81·84㎡ 총 242실 규모로 조성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공급도 없고 당첨도 별따기…아파트보단 주거형 오피스텔 ‘각광’
기사입력:2021-09-24 13:23:0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25,000 | ▼189,000 |
비트코인캐시 | 688,500 | ▲1,000 |
이더리움 | 3,507,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10 | ▲90 |
리플 | 3,124 | ▲4 |
퀀텀 | 2,702 | ▲2,70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01,000 | ▲2,000 |
이더리움 | 3,504,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90 | ▲20 |
메탈 | 931 | ▲8 |
리스크 | 522 | ▼0 |
리플 | 3,123 | ▲2 |
에이다 | 794 | ▲2 |
스팀 | 17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50,000 | ▼240,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3,500 |
이더리움 | 3,507,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80 | ▲50 |
리플 | 3,126 | ▲3 |
퀀텀 | 2,721 | 0 |
이오타 | 21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