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울산 울주군 지역 어업인과 주민대표, 마을활동가, 해양기술·생태 전문가, 사회복지 정책 전문가 등 40여명이 6월 15일 오후 2시 울주군 서생면 행정복지센터 3층 대회의실에서 바다드림사회적협동조합 창립총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바다와 인접한 지역의 환경보호와 해양안전 사고 예방, 주민소득 증대,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회서비스 제공 등을 목적으로 이뤄졌다.이 자리에는 조합 추진 사업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해양기술·생태 전문가, 사회복지 정책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총회에 참석한 조합원들의 승인을 얻어 통과된 정관에는 온산국가산업단지와 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어업권이 소멸되거나 기후위기와 바다환경의 변화로 위협받는 해양생태계의 현실을 감안, 관련 연구·조사와 계획 수립, 정화활동 등 해양환경 보호와 관련된 사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키로 했다.
또한 어업인들은 물론이고 서생면에 레저를 즐기러 오는 방문객들의 안전과 인명구조 등 해양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어촌 주민들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전복과 돌미역 등 서생지역 특산물의 생산과 수집, 가공, 유통을 일원화하는 ‘울주군 어촌형 6차산업’을 육성하겠다고 했다. 그에 따른 수익의 일부는 고령의 이유 등으로 생업이 어려워진 마을주민들에게 취업이나 소득에 상관없이 지급하는 사회보장적 금전 성격의 ‘울주군 마을형 기본소득’으로 배당하겠다고 밝혀 주목을 끌었다.
이 밖에 원전지역의 해체된 공동체 의식을 회복시키기 위한 마을문화 조사 사업과 함께 어촌지역의 생산인구를 늘리기 위한 어촌체험학교를 추진하고, 복지와 보건의료, 교육, 주거, 일자리 등 서생지역의 미비한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를 적극적으로 구축해서 지원하겠다는 대목도 눈에 띈다.
고수성 바다드림사회적협동조합 설립 준비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해양쓰레기 자원화 사업을 통해 새로운 환경운동을 꿈꾸는 동료들과 미세조류(플랑크톤) 배양기술로 수질과 공기를 정화시키고 싶은 동료들, 떠나버린 청년들이 다시 돌아오는 마을로 만들고 싶어 하는 동료들의 열망을 모아 우리 조합이 실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현장에서 배포한 창립선언문에서도 “우리들의 힘으로, 우리 바다를 보전하고, 아이들과 시민들이 오랜 시간 울주군 바다를 누릴 수 있도록 이어주는 한편, 원전 지역의 해체된 공동체 정신을 회복시키고, 자연환경과 복지가 어우러지는 마을, 일자리를 원하는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마을, 청년들이 다시 돌아오는 마을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히면서 참석자들의 기대를 모았다.
창립총회에 앞서 진행된 사전행사에서는 일본 방사능오염수 방출을 저지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이선호 울주군수가 축사로 힘을 실었고, 관련 결의안을 항의서한으로 보낸 서휘웅 울산광역시의회 의회운영위원장이 발언에 나서 조합원들을 격려했다.
이어서 백년숲사회적협동조합의 한새롬 이사가 연대사를 통해 협동조합 간 사회적연대를 강조하면서 뜻을 보탰다. 이후 조합원들은 울주군 선주협의회와 ‘해양안전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으면서 상생과 협력을 약속했다.
◇발기인 명단(14명, 가나다순)=▲고수근 라딕스 유한책임회사 대표이사 ▲고수성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평동어촌계장 ▲김민경 사회복지학 박사 ▲김수홍 ㈜에스지알테크 대표이사 ▲김 진 춘해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김진곤 한국해양구조협회 울주지역 구조대장▲서휘웅 울산광역시의회 의회운영위원장 ▲송장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외고산리 이장 ▲심경보 ㈜파랑해양기술 대표 ▲엄동현 디에스아이 두성중공업 대표 ▲오원섭 사단법인 서생면 주민협의회 이사 ▲윤태양 남울주발전협의회 사무국장 ▲이승진 사단법인 나은내일연구원 이사 ▲황재호 ES DASAN 대표이사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울산 울주군 지역 어업인 등 “바다드림사회적협동조합 창립총회”
기사입력:2021-06-16 09:16:3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59,000 | ▼54,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3,500 |
이더리움 | 3,501,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90 | ▲10 |
리플 | 3,122 | ▲4 |
퀀텀 | 2,695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40,000 | ▼132,000 |
이더리움 | 3,500,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00 | ▲20 |
메탈 | 927 | ▲0 |
리스크 | 522 | ▼1 |
리플 | 3,122 | ▲5 |
에이다 | 794 | 0 |
스팀 | 17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94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3,500 |
이더리움 | 3,503,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70 | ▼20 |
리플 | 3,125 | ▲8 |
퀀텀 | 2,721 | 0 |
이오타 | 21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