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가희 기자] 올 1월~3월 서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303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외국인이 다녀간 2017년 동기간 292만 명 보다 3.4%p 증가한 수치다. 작년 1~3월 265만 명 보다는 14.1%p 증가했다.
시는 2017년 3월 한한령 이후 한・중 외교관계의 점진적 회복으로 중국 개별관광객 중심의 방문 수요가 확대되고, 시가 동남아 지역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지 프로모션 등 전략적 마케팅도 외국인 방문객이 증가한 요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관광재단과 함께 외국인 관광객 6,000명을 대상(매월 500명)으로 매년 실시하고 있는 「2018 서울시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2018년 외국인 관광객들의 체류기간('17년 5일→'18년 5.44일), 재방문율('17년 44.3%→'18년 49.8%), 지출경비('17년 195.6만원→'18년 196.2만원), 전반적 만족도('17년 4.16점→'18년 4.25점), 재방문의향('16년 4.28점 → '17년 4.34점 → '18년 4.37점, 5점 만점)등 주요 지표가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류스타 단골집, 드라마 촬영장 등 한류 연계 체험 방문자가 늘었고, 게스트하우스와 같은 현지 체험형 숙박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했다. 식도락 관광객이 대폭 늘어난 점도 눈에 띈다.
서울에서만 경험 가능한 특별한 한류체험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열풍으로 해외에서 방송된 드라마‧예능 프로그램 촬영지 방문('17년 32.4% → '18년 41.2%)과 한류스타의 단골 맛집‧매장 등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17년 28.0% → '18년 39.7%)했다.
외국인 관광객의 식도락 관광 활동도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17년 73.4%→'18년 81.0%)했다. 식도락 관광을 가장 좋았던 활동으로 꼽은 외국인 역시 전년대비 증가('17년 59.1%→'18년 66.1%)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과 길거리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특히 높았고, 불고기가 인기 만점이었다.
주요 쇼핑장소로는 시내면세점(59.8%), 전통시장(51.6%), 백화점(51.5%)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시내면세점('17년 52.2%→'18년 59.8%)과 백화점('17년 44.0%→'18년 51.5%)의 비율이 타 쇼핑장소 대비 다소 증가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지하철(53.9%), 택시(32.9%) 순이었다. 특히,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선불교통카드를 구입해 이용하고 있었고, 평균 3만4천 원 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관광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5점 만점에 4.25점으로 나타난 가운데, 세부 항목을 보면 치안(4.35점)과 쇼핑(4.27점) 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언어소통(3.69점), 관광안내서비스(3.95점)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가희 기자 no@lawissue.co.kr
1~3월 서울방문 외국인 관광객 303만 명…전년 대비 14.1%p↑
기사입력:2019-04-24 12:22:5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853.26 | ▼151.59 |
| 코스닥 | 863.95 | ▼27.99 |
| 코스피200 | 540.36 | ▼23.8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6,910,000 | ▲62,000 |
| 비트코인캐시 | 816,500 | ▼1,000 |
| 이더리움 | 4,130,000 | ▲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180 | ▼20 |
| 리플 | 2,907 | ▲25 |
| 퀀텀 | 2,322 | ▲1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6,904,000 | ▲139,000 |
| 이더리움 | 4,127,000 | ▲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150 | ▼80 |
| 메탈 | 590 | ▼2 |
| 리스크 | 260 | 0 |
| 리플 | 2,903 | ▲19 |
| 에이다 | 601 | ▲3 |
| 스팀 | 106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6,920,000 | ▲120,000 |
| 비트코인캐시 | 816,000 | ▼2,500 |
| 이더리움 | 4,129,000 | ▲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180 | 0 |
| 리플 | 2,906 | ▲23 |
| 퀀텀 | 2,299 | 0 |
| 이오타 | 172 | ▲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