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이슈] BYC, 홈파티 위한 커플 잠옷세트 출시 外

기사입력:2021-12-28 08:32:44
[로이슈 편도욱 기자] ◆BYC, 홈파티 위한 커플 잠옷세트 출시

BYC(대표 김대환)는 편안하면서도 따뜻한 커플 홈웨어를 새롭게 준비했다. 신제품 잠옷세트는 체크 패턴에 디테일한 포인트 파이핑이 돋보인다. 포근하고 부드러운 기모 선염으로 가벼우면서도 신축성이 좋고 보온성이 우수해 간절기는 물론 방한용으로도 착용 가능하다.

남성용 파자마는 다크베이지 컬러에 댄디한 스타일로 빈티지한 느낌과 내추럴함이 특징이며, 여성용 파자마는 동일한 체크 패턴에 그레이 컬러로 센스 있는 시밀러 룩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BYC 잠옷은 수십년간 쌓아온 봉제기술로 우수한 품질과 내추럴한 스타일을 추구한다. 부드러운 순면부터 편안한 모달, 신축성 좋은 레이온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해 착용감이 좋고 오래 입을 수 있다. 또한, 제품을 다양하게 구성해 남녀는 물론 커플, 가족들이 함께 입기 좋다.

BYC 관계자는 “소소한 홈파티로 연말을 보내는 문화가 계속되면서 홈웨어를 찾는 분들이 많다”며, “실용적이면서도 컨셉 있는 BYC 커플 잠옷으로 연인, 가족과 연말을 따뜻하게 보내기 바란다”고 전했다.



◆코지마, 안마의자 업계 2021 트렌드 결산 및 전망

올해 안마의자 업계는 ‘집콕’ 장기화의 영향으로 호조세를 보였다. 특히 스스로 건강을 챙기는 ‘셀프 메디케이션’ 트렌드까지 확산되면서, 안마의자는 집에서 손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더욱 각광을 받았다.

1조 원 이상 규모로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국내 안마의자 시장은 급변하는 상황과 트렌드, 고객 니즈에 맞춰 혁신과 변화를 거듭 중이다. 코지마의 판매 데이터(2021년 1월~12월 20일 기준)를 바탕으로 선정한 3가지 주요 이슈, ‘R&D 강화’∙‘소형 마사지기 인기’∙‘온라인 판매 채널 확장’을 통해 올 한 해 안마의자 트렌드 결산 및 새해 전망을 짚어 보자.

올해는 안마의자 수요 증가 속 차별화된 기술 경쟁이 두드러진 한 해였다. 고객 니즈와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는 기능을 탑재한 신제품들은 업계에 새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코지마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지난 4월 차세대 안마의자 기술을 집약한 ‘레전드 시그니처’를 출시했다. 코지마의 기존 플래그십 모델 ‘카이저 시그니처’에 이어 삼성전자와의 협업을 통해 한 차원 업그레이드한 이 제품은 출시 후 매월 평균 약 20%의 판매 성장을 보이고 있을 정도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레전드 시그니처’는 GSR(Galvanic Skin Reflex, 전기 피부반응) 기술을 통해 ‘스마트 안마’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삼성전자 갤럭시 탭을 기본 리모컨으로 제공,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구현해 마사지를 받으면서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콘텐츠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고급스러운 디자인도 돋보인다.

코지마는 내년에도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삼성전자 자체 운영체제(OS)인 타이젠 기반의 안마의자를 2022년 중 출시할 예정이며, 한층 진보된 기술력으로 다른 가전과 호환되는 홈 IoT 기능을 갖춘 안마의자를 선보이겠다는 목표다.

안마의자 대비 부담 없는 가격에 신체 부위 별로 간편하게 피로를 풀 수 있는 ‘소형 마사지기’의 인기가 높아진 점도 주목할 만하다.

코지마는 제품 라인업 다각화를 위해 올해 새로운 소형 마사지기 개발에 도전해왔다. 그 결과 진동 운동기 ‘비토’, 저주파 마사지기 ‘글로우’, 스툴형 발마시기지 ‘코지스툴’ 등 신규 품목을 포함해 총 13종의 소형 마사지기를 새롭게 선보였다.

‘가성비’와 ‘가심비’를 만족시키는 소형 마사지기는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비토’는 출시 약 4개월 만인 지난 7월 홈쇼핑 방송 기준 174%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는 등 완판 행진을 기록했으며, ‘글로우’는 올 12월 홈쇼핑 방송 전체 매진을 기록하기도 했다.

코지마는 상반기 출시 예정 제품을 포함해 내년에도 소형 마사지기 품목 확장에 집중한다. 소형 마사지기 카테고리를 꾸준히 성장시켜 나가며 토탈 헬스케어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안마의자 업계도 판매 채널을 온라인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통업계 대세로 자리매김한 라이브 커머스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인기를 끌 전망이다.

실제로 코지마는 올해 온라인을 통해 전년 대비 약 20%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오프라인 대비 온라인 채널 매출 비중도 전년 대비 약 2%가량 소폭 증가했다. 이는 코지마가 온라인 판매 접점을 꾸준히 넓혀 온 결과다. 특히 라이브 커머스 강화에 힘을 쏟고 있는 코지마는 올 8월 자사 스튜디오를 오픈하고 차별화된 혜택의 라이브 방송을 확대 진행하며 올해 매 분기 3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기도 했다.

코지마는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춰 2022년에도 온라인 채널 공략을 계속 이어 나간다.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보다 좋은 혜택으로 코지마의 우수한 제품들을 선보여 나갈 계획이다.

◆뉴메드 연구진, "HT042의 연골 자극 키 성장 메커니즘 규명"

천연물 연구개발기업 (주)뉴메드 연구진은 가천대 한의대 이동헌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HT042의 동물 모델에서 성장인자 합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성장호르몬을 자극하는 호르몬과 결합하는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하는 반면, 억제호르몬(SST; 소마토스타틴)의 발현은 저해되어 성장호르몬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뉴메드 연구진이 최근 국제학술지 ‘Children’ 10월호에 HT042의 키 성장 메커니즘과 뼈와 연골 형성에 대한 성장 효과에 관한 연구 논문을 게재하면서 확인됐다.

HT042는 황기, 가시오갈피 등 천연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어린이 키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음’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이다. 두 차례의 어린이 대상 무작위 이중맹검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기능성과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뼈와 연골 형성에 대한 성장 효과뿐 아니라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키 성장의 요소인 성장호르몬과 성장인자의 상관관계에도 주목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물 모델에서 HT042 투여 결과 성장호르몬(GH)의 분비를 촉진하는 뇌하수체의 수용체(GHRH와 GHS) 등의 발현이 증가했고, 10일 동안 경구 투여 시 성장을 촉진하는 성장인자(IGF-1)의 수가 늘어나면서 골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 몸의 뇌하수체에서는 성장호르몬이 분비된다. 성장호르몬은 자율신경계와 호르몬 분비 등을 조절하는 간뇌의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자극호르몬과 억제호르몬에 의해 분비량이 조절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은 간에서 성장인자(IGF-1)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성장인자는 성장호르몬에 의해 분비되지만, HT042가 GHRH, GHS, SST 등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전에 작용하여 성장인자 분비를 더욱 촉진하는 것이다. 이렇게 증가한 성장인자는 성장판 연골세포의 수와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골 길이 성장을 유도하고 키를 자라게 하는 것이라고 뉴메드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성장판에서의 성장인자 발현 역시 대조군과 대비해 증가했다. 성장호르몬은 직접 국소 성장판에서도 성장인자 분비를 자극하여 이를 통해서도 성장판 연골세포의 수와 크기 증가를 자극하기 때문에 키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연구진은 2014년 8월에 황기추출물 등 복합물(HT042)이 어린이 키 성장을 돕는 건강 기능성 개별인정형 원료로 식약처로부터 국내 최초로 유일하게 인정받은 후에도 10건의 HT042 관련 연구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하며, 천연물의 성장 촉진 효과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제 학술논문을 발표해왔다. 주요 논문으로는 HT042의 성장기 흰 쥐의 골 길이 성장, 성장 인자, 성장 단백질, 골 밀도 및 골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및 HT042의 안전성, 성조숙에 영향 없음 등이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66.36 ▼7.28
코스닥 734.26 ▲11.46
코스피200 340.80 ▼0.6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655,000 ▲565,000
비트코인캐시 486,200 ▲1,600
비트코인골드 4,295 ▼135
이더리움 2,79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5,630 ▲110
리플 3,379 ▲20
이오스 705 ▲1
퀀텀 3,144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637,000 ▲477,000
이더리움 2,793,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660 ▲100
메탈 1,092 ▲2
리스크 821 ▲7
리플 3,384 ▲22
에이다 1,035 ▲3
스팀 19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700,000 ▲500,000
비트코인캐시 485,000 ▲2,600
비트코인골드 3,700 ▼80
이더리움 2,790,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5,640 ▲140
리플 3,381 ▲21
퀀텀 3,116 0
이오타 25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