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아파트를 겨냥한 고강도 규제를 잇달아 쏟아내자, 아파트 대체재로 꼽히는 오피스텔 시장이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실제 대출은 물론 실거주 규제까지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부각되면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이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아파트 거래는 3분의 1 토막 나며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일인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거래는 총 76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책 시행 직전 보름(10월 1~15일)간 거래된 289건의 2.6배에 달하는 수치다.
같은 기간, 강력한 규제 대상이 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640건에 그쳤다. 직전 보름(5262건) 거래 건수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며 사실상 '거래 절벽'을 맞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강력한 아파트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 등이 오피스텔 수요 증가로 이어진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한다. 오피스텔은 건축법상 준주택으로 분류돼 청약통장, 자금조달계획서, 실거주 요건 등 대부분의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최대 70%까지 LTV 대출이 가능하며, DSR 규제도 적용받지 않는다. 또 세법상 주택으로 분류되지만, 청약 대기자 입장에서는 오피스텔을 매입해도 무주택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으로 꼽힌다.
이처럼 규제를 피한 수요가 몰리면서 오피스텔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KB부동산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10월 기준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24.6으로 전달(124.5) 대비 0.1p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도 지난달 4.8%로, 2018년 이후 약 7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대출 문턱이 유례없이 높아지면서, LTV 70%까지 가능한 오피스텔이 자금 여력이 부족한 실수요자들에게 사실상 유일한 ‘주거 사다리’로 인식되고 있다”며 “특히 아파트 청약을 포기할 수 없는 3040세대가 ‘무주택 자격’을 유지하면서 거주지를 마련할 수 있는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선택하며 문의가 급증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올 연말까지 서울에서 분양하는 오피스텔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마포구 합정동에서는 ‘라비움 한강’이 11월 공급될 예정이다. 전용 40~57㎡ 소형주택 198세대, 전용 66~210㎡ 오피스텔 65실, 총 263세대 규모다. 최고 38층 높이로 조성되는 만큼 뛰어난 파노라마 뷰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오피스텔 일부(전용 114~210㎡)는 한강 조망이 가능한 펜트하우스 타입으로 설계된다.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바로 앞 도보 2분 초역세권 입지가 특징이다.
같은 달 동대문구 청량리동에서는 ‘청량리역 요진 와이시티’가 공급된다. 전용 43~59㎡ 130세대, 전용 65~84㎡ 오피스텔 25실, 총 155세대다. 단지는 지하철 1호선과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경원선, KTX, GTX-B·C노선과 면목선, 강북횡단선 등 다양한 노선이 교차하고 예정돼 있는 청량리역 역세권 입지를 갖췄다.
성동구 도선동에는 지하철 2·5호선과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이 교차하는 왕십리역 인근에 ‘왕십리역 어반홈스’가 들어선다. A동 전용 35~37㎡ 42실, B동 전용 29~33㎡ 42실로 구성된다. 전 타입 모두 2룸 구조로 설계되며, 풀퍼니시드 시스템과 스마트 사물인터넷(IoT) 기반 설계도 적용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아파트 ‘거래 절벽’…규제 사각지대 ‘오피스텔’로 수요 몰려
기사입력:2025-11-17 14:20:4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53.62 | ▼135.63 |
| 코스닥 | 878.70 | ▼23.97 |
| 코스피200 | 556.45 | ▼20.2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7,291,000 | ▲1,891,000 |
| 비트코인캐시 | 745,000 | ▲22,000 |
| 이더리움 | 4,600,000 | ▲7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650 | ▲160 |
| 리플 | 3,276 | ▲56 |
| 퀀텀 | 2,591 | ▲35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7,102,000 | ▲1,842,000 |
| 이더리움 | 4,590,000 | ▲6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630 | ▲180 |
| 메탈 | 624 | ▲10 |
| 리스크 | 342 | ▲9 |
| 리플 | 3,271 | ▲51 |
| 에이다 | 700 | ▲12 |
| 스팀 | 115 | ▲3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7,270,000 | ▲1,940,000 |
| 비트코인캐시 | 744,500 | ▲21,500 |
| 이더리움 | 4,600,000 | ▲7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650 | ▲190 |
| 리플 | 3,277 | ▲58 |
| 퀀텀 | 2,561 | 0 |
| 이오타 | 185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