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시 해역에 인공어초 103개 보충···어류 보금자리 조성

안산시 육도해역 8ha에 보충용 사각형어초 103개 시설 기사입력:2024-10-16 16:09:13
인공어초 설치[사진제공=경기도청]

인공어초 설치[사진제공=경기도청]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가 지속 가능한 수산자원 증대와 어촌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 올해 약 2억원을 들여 안산시 육도해역 8ha 바다에 인공어초 103개를 보충했다고 16일 밝혔다.

인공어초란 해양생물의 정착이나 보호를 위해 바다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철, 세라믹 등으로 만들어진 구조물로 조류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 물고기들이 서식하고 산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대상지역은 도내 어초어장 관리해역 중 한 곳으로 기존에 설치된 어초의 유실(침하, 전도 등)이 30% 이상 확인돼 보충이 필요한 지역이다.

이번에 보충된 어초의 종류는 어류용 사각형어초로 제작·설치가 쉽고 어류의 성육장과 산란장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는 어초 보충과 더불어 유령어업 방지와 수산생물 서식환경 개선을 위해 이미 설치된 인공어초 주변(육도, 입파도 등)의 폐그물, 폐통발 등 해양폐기물 수거 작업도 실시할 계획이다.

경기도의 2023년 어초어장 관리사업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어초구(인공어초) 어획량(자망·통발)은 비교구 및 자연초보다 0.4~1.9배 많은 것으로 확인돼 수산자원 조성 효과가 입증됐다.

도는 이번 어초어장 관리사업이 안정적인 물고기의 산란·서식장을 유지하고 수산자원을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봉현 경기도 해양수산과장은 “기후변화로 수산생물의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는 만큼 체계적인 인공어초 사업을 통해 수산 동식물의 산란·서식장을 유지하고 수산자원회복과 어장환경을 지키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2023년 어초어장 관리사업을 실시해 풍도해역 사각형어초 114개 보충, 시설 어초 3,557개 상태 확인, 어초구 어획량 및 부착생물(저서동물62종, 해조류21종) 조사, 어초 주변 해양폐기물 2,630kg 수거 등을 추진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747,000 ▲568,000
비트코인캐시 503,500 ▲3,500
이더리움 2,58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2,820 ▲200
리플 3,036 ▲11
이오스 1,015 ▲6
퀀텀 3,012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780,000 ▲641,000
이더리움 2,587,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2,800 ▲100
메탈 1,125 ▲9
리스크 723 ▲11
리플 3,039 ▲11
에이다 944 ▲6
스팀 206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730,000 ▲550,000
비트코인캐시 503,500 ▲5,100
이더리움 2,58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800 ▲190
리플 3,034 ▲9
퀀텀 3,040 0
이오타 297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