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 오피스텔에 관리자 A씨는 지난 5월 느닷없이 오피스텔 외벽 3층 부위에 석재가 떨어져 관리단 차원에서 긴급보수를 진행했다. 다행히 안전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하마터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던 아찔한 상황이었다. 이에 다른 부위의 석재가 안전한지 걱정돼 시공사 측과 연락해 봤지만 여의찮아 경기도에 분쟁조정을 신청했다. 집합건물분쟁조정위원회는 안전사고 책임 소재와 판례를 인용해 상세히 설명했고, 집합건물분쟁조정위원회 조정 안건에 상정된 후 소유자 측과 시행사 측 상호간의 조정성립(민사합의효력)을 이끌었다. A씨는 “마치 약식 재판에서 조정 절차를 받은 것처럼 전문성 있는 조정에 만족한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에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도민 갈등 해소를 위해 ‘집합건물분쟁조정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오피스텔, 상가, 소규모 공동주택처럼 한 동의 건물에서 구분소유 형태로 소유하는 건물을 집합건물이라고 하며 이를 적용하는 법률은 집합건물법이다. 문제는 집합건물법(민사특별법)은 사적자치 원칙으로 분쟁이 발생할 때 법원에 소송 제기 등 당사자 스스로가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악용해 분양 시행사, 시공사, 관리사무소에서는 하자 처리 지연, 깜깜이 관리비 부과, 독선적인 관리 행태로 구분소유자, 임차인 등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2013년부터 공용 부분의 관리, 관리인 선임, 관리비 징수, 소음·진동·악취 등 공동생활 분쟁, 집합건물의 하자에 관한 분쟁을 대상으로 ‘집합건물분쟁조정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그간 총 58건을 개최해 36건의 조정성립을 이끌었는데 올해 7월 기준에만 8건을 개최해 6건 조정성립(성립률 75%) 시켰다.
이밖에도 경기도는 ▲집합건물의 분쟁 해소 및 예방을 위해 변호사 재능기부를 통한 무료 법률서비스인 ‘집합건물 열린상담실’ ▲변호사, 회계사, 주택관리사 등으로 구성된 찾아가는 현장 무료 자문 서비스인 ‘집합건물관리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집합건물 관리 종합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인 신청 방법은 ‘경기건축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종근 경기도 건축디자인과장은 “분쟁이 발생하면 시일이 오래 걸리는 법원보다는 ‘분쟁조정위원회’를 찾아주시길 바란다” 라며 “앞으로도 현재 운영 중인 대민 서비스를 더 발전시키고 개선해 투명하고 합리적인 집합건물 관리문화 정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경기도, “오피스텔·상가 관리 분쟁 조정, 경기도에 문의하세요”
경기건축포털로 분쟁해소제도(조정위원회, 관리지원단, 열린상담실) 신청 가능 기사입력:2024-08-06 16:55:5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9.48 | ▲5.68 |
코스닥 | 729.59 | ▲6.78 |
코스피200 | 341.47 | ▲0.1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499,000 | ▲294,000 |
비트코인캐시 | 589,500 | ▲4,500 |
이더리움 | 2,687,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00 | ▲80 |
리플 | 3,064 | ▼3 |
이오스 | 1,172 | ▼5 |
퀀텀 | 3,097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543,000 | ▲359,000 |
이더리움 | 2,689,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10 | ▲120 |
메탈 | 1,149 | ▼5 |
리스크 | 699 | ▲1 |
리플 | 3,065 | ▼1 |
에이다 | 993 | ▲6 |
스팀 | 20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500,000 | ▲240,000 |
비트코인캐시 | 589,500 | ▲1,000 |
이더리움 | 2,687,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00 | ▲140 |
리플 | 3,064 | ▼3 |
퀀텀 | 3,091 | ▲11 |
이오타 | 305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