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행정법원 판결] 해외 파견 근로자 사망, "본사 지시 없다면 산재법 적용할 수 없다” 판단

기사입력:2024-06-25 16:18:57
서울행정법원 표지석, (사진=연합뉴스)

서울행정법원 표지석,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서울행정법원이 해외 파견 근로자가 업무 중 사망했더라도 국내 본사의 업무지시를 받지 않았다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업무상 재해를 인정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서울행정법원 행정3부(재판장 최수진 부장판사)는 지난 4월 26일 업무 중 사망한 해외 파견 근로자 A 씨의 배우자 B 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취소 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했다고 24일, 밝혔다,

C 사에 소속된 A 씨는 2019년부터 중국 현지법인에 근무했고 2020년 7월경 근무 도중 쓰러져 병원에 이송됐으나 2시간 만에 사망했다.

A 씨의 사인은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이었고 이에 A 씨의 배우자 B 씨는 2020년 10월 A 씨의 사망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 및 장의비 지급을 청구했다.

하지만 근로복지공단은 이듬해 4월 “심근경색과 업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A 씨의 경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해외파견자 임의가입 대상에 해당하지 않고, 사업장에서 A 씨에 대해 해외파견자 임의가입을 신청한 사실도 없다”며 부지급 결정을 했다.

이에 불복한 B 씨는 공단의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기각 판결을 선고했고 2022년 12월 그대로 확정됐다.

이후 B 씨는 재차 A 씨의 사망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면서 유족급여 및 장의비 지급을 다시 청구했으나 같은 결정을 받게 되자 소송을 제기했다.

B 씨는 "배우자 A 씨의 근로 장소가 중국일 뿐 실질적으로는 국내 사업에 속해 회사의 지휘에 따라 근무했다고 봐야 한다"며 "산재보험법 적용대상에 해당하므로 공단의 처분은 위법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은 B 씨의 주장을 배척했다.

재판부는 “A 씨가 실질적으로 국내 사업에 소속해 C 사의 지휘에 따라 근무했다고 보기 어려워 산재보험법의 적용대상이 되지 않는다”며 “본사가 A 씨에게 직접 업무지시를 했다는 구체적 사정이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C 사는 A 씨가 중국에서 근무하는 기간 동안 A 씨와 연봉계약을 체결했고, A 씨에게 복지포인트 현금정산분 등을 지급했으며 중국 현지법인의 근무기간을 C 사의 근무기간으로 인정하기는 했다”며 “이는 모회사인 C 사에 근무하는 직원과 자회사인 중국 현지법인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급여나 복지혜택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해 직원들을 중국 근무를 촉진하려는 정책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판시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44.31 ▼45.34
코스닥 773.00 ▼10.67
코스피200 410.08 ▼6.1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013,000 ▲208,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2,000
이더리움 3,312,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1,900 ▼40
리플 2,983 ▼1
퀀텀 2,575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980,000 ▲229,000
이더리움 3,31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1,920 ▼40
메탈 880 ▼4
리스크 488 ▲1
리플 2,982 0
에이다 747 ▲3
스팀 16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100,000 ▲280,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0
이더리움 3,313,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1,950 ▼10
리플 2,985 ▲1
퀀텀 2,559 0
이오타 206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