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상반기 등급조정이 이뤄진 지 2주가 지났다. 강급자들의 활약이 관심사이다. 우수, 선발급 통틀어 12명의 선수들이 출전해 승률 54%, 연대율 68%, 삼연대율 80%를 기록하고 있다. 이중 지난 7일 광명 우수급에서 우승을 한 이승철(20기), 14일 창원 우수급에서 우승을 한 배민구(12기), 선발급 결승에서 고배를 마셨으나 금, 토 경주에서 연승한 이승현(13기), 엄지용(20기)이 선전을 하고 있다. 반면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이는 선수들도 있어 강급자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먼저, 우수급 강급자들을 살펴보면 이승철(20기)은 강급 후 첫 날 예선에서 신인 강민성(28기)을 상대로 제압하며 기존 강자의 매운 맛을 보여주었고, 둘째 날 선행 200M 랩타임 11초 38과 마지막 날 결승에서 젖히기 200M 랩타임 11초 35를 기록하며 준특선급 전력임을 입증했다.
데뷔 초 2006년 이후 18년 동안 줄곧 특선급에서 활약하다가 강급된 원조 ‘부산갈매기’ 배민구(12기)도 제 몫을 하고 있다. 강급 후 첫 경주였던 12일 부산에서 신인 원준오(28기)의 선행 패기를 노련미의 추입으로 첫 승 신고했다. 13일에는 몸을 풀 듯 두 번째 승을 쌓고 이은 14일 결승에서도 추입으로 우승하며 그동안 왜, 특선급 붙박이 선수였는지를 입증했다.
이승철(20기)과 배민구(12기)는 특별승급까지는 다시 먼 길을 달려야 하지만 본인이 강축으로 나서는 경주에서는 실수 없이 팬들의 기대에 부응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신동현(23기)은 13일 창원 첫 날 예선 선행 2착하며 와일드카드로 결승 진출했으나 다음 날 신인 원준오(28기)에게 패하며 4착을 해 아쉬움을 남겼고, 김우현(12기)도 13일 광명 첫 날 예선에서 우수급 강자 이성록(27기)에게 패하며 7착으로 결승진출에 실패했다.
우수급에 이어 선발급 강급자들을 살펴보면 이승현(13기), 엄지용(20기)은 연 이틀 1착했으나 결승에서 고배를 마시며 각각 3착, 6착으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반면 최병길(7기)은 첫 날 1착, 다음 날 팀 대결에서는 3착, 결승에서 신인들과 대결에서 2착을 하며 노련미를 발휘했다.
김종현(15기)은 첫 날 신인 김태울(28기)에게 패하며 2착, 다음날 1착을 했고 결승에서 신인들에게 밀려 아쉽게 4착을 했다. 한편 박찬수(26기)는 첫 날 신인 임대성(28기)에게 패하며 3착하며 결승 진출까지 실패했지만 다음 날과 마지막 날 1착하며 부진을 만회했다.
경륜위너스 박정우 예상부장은 “선발, 우수급은 신인 선수들의 데뷔전과 맞물려 팀 간의 충돌이 잦기 때문에 강급자들도 상대진영의 선전에 따라 완패를 당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며 “편성에 상관없이 무조건 믿으면 되는 강자, 편성에 따라 기복이 큰 선수, 편성에 상관없이 들쭉날쭉한 선수를 골라내는 안목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경륜, 강급자들의 엇갈린 ‘희비’
기사입력:2024-01-15 18:11:5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08.42 | ▲1.09 |
코스닥 | 731.88 | ▲6.48 |
코스피200 | 347.17 | ▲0.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499,000 | ▲484,000 |
비트코인캐시 | 568,500 | ▲2,500 |
이더리움 | 3,555,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90 | ▲270 |
리플 | 3,586 | ▼18 |
이오스 | 1,223 | ▲9 |
퀀텀 | 3,546 | ▲2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579,000 | ▲545,000 |
이더리움 | 3,557,000 | ▲5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60 | ▲250 |
메탈 | 1,275 | ▲7 |
리스크 | 803 | ▲6 |
리플 | 3,586 | ▼20 |
에이다 | 1,131 | ▲4 |
스팀 | 224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560,000 | ▲480,000 |
비트코인캐시 | 569,500 | ▲5,000 |
이더리움 | 3,555,000 | ▲5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60 | ▲260 |
리플 | 3,585 | ▼20 |
퀀텀 | 3,552 | ▲17 |
이오타 | 340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