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퀴놀론계 항생제 부작용 논란에 "가능성 매우 낮아"

기사입력:2023-10-25 17:38:51
콕스비례위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과 자기-대조 환자군 연구(self-controlled case series) 결과. 사진=한국연구재단

콕스비례위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과 자기-대조 환자군 연구(self-controlled case series) 결과. 사진=한국연구재단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플루오로퀴놀론(fluoroquinolone)계 항생제가 대동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부작용 논란은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가천대학교 정재훈 교수, 삼성서울병원 허경민 교수 공동 연구팀이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와 3세대 세팔로스포린(third-generation cephalosporin) 항생제를 사용하는 환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대동맥박리 또는 대동맥류 발생 위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퀴롤론계 항생제는 세균성 부비동염, 요로감염, 폐렴 등 다양한 감염병을 치료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는 항생제로서, 항균 범위가 넓고 먹는 약도 잘 흡수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과 유럽, 대만 등에서 이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대동맥류, 대동맥박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됐으며 미국 FDA는 퀴놀론계 항생제 사용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경고한 바 있다. 실제로 가격이 저렴해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됐던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는 미국 FDA의 경고 이후 처방이 감소했다.

이에 연구팀은 국민 건강보험 공단의 청구 자료를 활용, 퀴놀론계 항생제를 처방받은 환자 77만 7109명과 3세대 세팔로스포린을 처방받은 환자 17만 7199명의 투약 후 대동맥 질환 발생률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퀴놀론계 항생제를 처방받은 환자의 대동맥박리 또는 대동맥류 발생률은 10만인년당 5.40건으로 3세대 세팔로스포린을 처방받은 환자의 발생률 10만인년당 8.47건보다 높지 않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감염병 치료에 필요하다면 대동맥류, 대동맥박리 발생 우려 때문에 퀴놀론계 항생제를 피할 이유는 없으며, 항생제 치료의 대상인 원인 감염병을 치료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정재훈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감염 이후 대동맥류, 대동맥박리 등의 간접적 합병증의 발생 위험은 증가한다”며, “감염병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로 감염 후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의과학 연구센터(MRC)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심장질환 분야 국제학술지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에 9월 19일 게재되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9.47 ▲5.19
코스닥 778.46 ▲2.66
코스피200 413.02 ▲0.2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584,000 ▼16,000
비트코인캐시 670,000 ▼1,500
이더리움 3,46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570 ▲90
리플 3,157 ▼14
퀀텀 2,699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666,000 ▲195,000
이더리움 3,463,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550 ▲70
메탈 926 ▲0
리스크 518 ▼2
리플 3,156 ▼13
에이다 792 0
스팀 17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54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71,000 0
이더리움 3,463,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2,550 ▲80
리플 3,155 ▼16
퀀텀 2,691 0
이오타 21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