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중고나라, ‘편의점 픽업’으로 지역 중고거래 확대 노린다
중고나라(대표 : 홍준)가 세븐일레븐과 손잡고 편의점에서 중고거래를 할 수 있는 이른바 ‘편의점 픽업’ 서비스를 이달 말 런칭한다.
중고나라 관계자는 "편의점 픽업 서비스는 세븐일레븐을 거점으로 서로 만나지 않고 중고거래를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사전에 약속을 정한 후, 판매자가 가까운 세븐일레븐 점포에 상품을 맡겨 놓으면 구매자가 편한 시간에 점포에 방문해 가져갈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중고나라는 이용자의 중고 거래 시 시공간의 제약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사기 등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나 대면거래의 부담감 없이 거래할 수 있으며, 세븐일레븐은 중고나라 이용 고객의 점포 방문을 유도해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또 "이를 위해 중고나라와 세븐일레븐은 작년 3월 ‘자원 선순환 및 개인 간 안전 거래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지난 6개월동안 서비스 런칭을 준비해왔으며, 세븐일레븐의 유통기한 임박상품을 활용한 랜덤박스 기부 이벤트 진행 등 다방면으로 협업을 지속해 왔다"라고 말했다.
홍준 중고나라 대표는 “그동안 당연하게 여겨왔던 직거래의 다양한 불편함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을까? 라는 질문이 결국 서비스 런칭까지 이어지게 되었다”라며 “세븐일레븐과 함께 국내 최초로 개인 간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편의점 픽업 서비스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이용자들이 좀 더 편하고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고민하겠다.”라고 전했다.
◆코드스테이츠, 대규모 브랜드 캠페인 전개
코드스테이츠(대표 김인기)가 핵심 교육 역량을 알리며, 커리어 전환을 희망하는 고객들과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대규모 브랜드 캠페인에 나섰다.
캠페인 메인 메시지는 “코딩만큼은 코드스테이츠”다. 코드스테이츠는 사업의 근간이자 가장 대표적인 부트캠프 교육 분야를 간결한 문구로 언급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나의 잠재력을 푸는 코드’라는 슬로건을 통해 누구나 사회적・경제적 제약 없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는 기업 비전도 담았다.
캠페인으로 총 3가지 핵심 교육 역량을 표현하는 점도 눈에 띈다. 코드스테이츠는 자기주도적 학습, 실전지향 커리큘럼, 평생관리 커뮤니티 등 자사 부트캠프 주요 강점들을 ‘탄탄하게’, ‘실전처럼’, ‘끈끈하게’ 등 짧은 키워드를 통해 강조했다.
이번 브랜드 캠페인은 약 2개월여간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해 전방위적으로 전개된다. 코드스테이츠는 옥외 광고를 통해 캠페인을 먼저 선보였다. 지난 1일부터 서울 일대 유동인구가 많은 환승역과 주요 역사를 중심으로 총 13개의 지하철역 스크린도어에서 광고가 송출되고 있다. 강남권과 광화문 일대의 21개 버스 정류소에서도 활발하게 브랜드 광고 캠페인이 전개되는 중이다. 30초 내외의 온라인 영상 광고 콘텐츠 총 3편은 유튜브, 메타 등을 통해 오늘 공개된다.
◆알지티, 엔데믹 효과에 연말 서빙로봇 판매 6배 급증
서비스로봇 토털 솔루션 업체 알지티(RGT)는 엔데믹 효과에 힘입어 2022년 12월 써봇(SIRBOT)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6배 이상(568%) 급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엔데믹(풍토병) 분위기로 전환되면서 연말 서빙로봇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월 이용 부담을 줄인 신규 렌털 상품 출시도 수요를 부추긴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2021년 연말은 사회적 거리 두기, 식당 이용 인원 및 영업시간 제한 등 다양한 제약이 있었던 반면 2022년 연말에는 엔데믹 분위기로 그 동안 하지 못했던 연말 모임, 회식 등이 늘어 외식업체 이용이 많아졌다. 긍정적인 상황이지만 인력 수급, 인건비 향상 등 어려움을 겪게 되며 업체들이 서빙로봇 도입을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중고나라, ‘편의점 픽업’으로 지역 중고거래 확대 노린다 外
기사입력:2023-01-09 08:52:0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330,000 | ▼529,000 |
비트코인캐시 | 524,000 | ▼2,500 |
이더리움 | 2,667,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70 | ▼50 |
리플 | 3,214 | ▼16 |
이오스 | 985 | ▼6 |
퀀텀 | 3,188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338,000 | ▼545,000 |
이더리움 | 2,669,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00 | ▼100 |
메탈 | 1,215 | ▼1 |
리스크 | 792 | ▲1 |
리플 | 3,213 | ▼17 |
에이다 | 1,011 | ▼7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370,000 | ▼620,000 |
비트코인캐시 | 524,000 | ▼2,500 |
이더리움 | 2,667,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00 | ▼110 |
리플 | 3,214 | ▼16 |
퀀텀 | 3,155 | 0 |
이오타 | 30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