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한화시스템-KAIST 인공위성연구소, 고해상도 초소형SAR위성 개발 MOU 外

기사입력:2022-10-24 15:58:14
[로이슈 편도욱 기자] ◆한화시스템-KAIST 인공위성연구소, 고해상도 초소형SAR위성 개발 MOU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지난 18일 KAIST 인공위성연구소(SaTRec, 쎄트렉)와 ‘초소형 SAR 위성체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MOU)을 맺고, 한화시스템이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초소형 SAR위성의 기술우위 강화에 나섰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초소형 SAR위성 탑재체 및 체계종합 기술을 바탕으로 쎄트렉의 소형위성 분야 기술을 융합해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 개발에 돌입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한화시스템과 쎄트렉은 상호간 배타적 사업개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세계 최고 수준급 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 분야 독자기술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라며 "또한, 이미 수차례 우주로 소형위성을 발사한 쎄트렉의 경험을 통해, 지상국 관제∙수신 등 소형 위성 운영 분야와 우주 인증 분야까지 역량까지 활용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또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다부처 소요로 추진 예정인 ‘초소형 SAR위성 체계개발’ 사업은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체와 운용 지상국 등을 개발하는 사업이다"라며 "향후 초소형 SAR위성이 운용되면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 대한 전천후 영상 정보 수집을 통해 이상기후에 따른 재난재해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군 정찰위성 체계를 구축할 수 있어, 북한의 군사적 위협 대응에 필요한 감시∙정찰 능력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쎄트렉은 위성 설계·제작·관제·인력 양성까지 수행해 온 연구소로, 1992년 우리나라를 세계 22번째 인공위성 보유국 위치로 올린 우리별 1호의 산실이다.

한화시스템은 무기체계에 탑재되는 EO∙IR 및 다기능레이다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반도 및 주변지역을 감시할 수 있는 중∙대형위성 EO∙IR 탑재체와 SAR 탑재체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SAR위성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SAR 센서’와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전자광학∙적외선 센서개발에도 자체기술로 참여 중이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초소형 SAR위성은 감시정찰 자산으로 매우 높은 가치를 인정받으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라며, “한화시스템은 국내 최초로 100kg 이하∙해상도 1m급 성능을 자랑하는 초소형 SAR위성을 개발해낸 역량을 바탕으로 위성 분야 R&D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가며 초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 국산화 성공을 위해 힘쓸 것이다”라고 전했다.

◆와콤, 성수동에서 팝업스토어 운영

와콤(Wacom)의 한국법인 한국와콤은 신제품 ‘와콤 신티크 프로 27’의 출시를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5일간 성수동 프로젝트 렌트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이번 와콤 팝업스토어는 오는 26일부터 30일까지 성수동에 위치한 프로젝트 렌트 2호점에서 운영되며, 창작 관련 프로그램부터 와콤을 즐길 수 있는 이벤트까지 다양하게 준비됐다.

먼저, 팝업스토어에는 신제품 액정타블렛 신티크 프로 27이 전시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제품을 체험하고 최고 사양의 액정타블렛이 가진 디스플레이 퍼포먼스, 색 재현률,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의 와콤 프로 펜 3를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다.

◆웨인힐스, 글로벌 스타트업의 요람 ‘플러그앤플레이’에 미국 법인 오피스 설립

웨인힐스브라이언트A.I(대표 이수민)가 글로벌 스타트업의 요람으로 불리는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에 미국 법인 오피스를 열었다고 24일 밝혔다.

미국 캘리포니아 서니베일에 위치한 ‘플러그앤플레이’는 공간·네트워킹·투자를 동시에 지원하는 세계적인 창업보육 기업으로 페이팔, 구글, 드롭박스, 로지텍 등이 거쳐 간 글로벌 최대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이자 액셀러레이터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00,000 ▲36,000
비트코인캐시 835,000 ▼500
이더리움 6,539,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30,640 ▼90
리플 4,326 ▲10
퀀텀 3,625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47,000 ▲33,000
이더리움 6,543,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30,580 ▼150
메탈 1,021 ▲2
리스크 536 ▲2
리플 4,325 ▲10
에이다 1,286 ▼1
스팀 18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7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834,000 ▼1,000
이더리움 6,53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30,590 ▼110
리플 4,327 ▲13
퀀텀 3,642 0
이오타 27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