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시장 조사 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명품 시장 규모는 14조9964억원으로 나타났다. 2015년(12조2100억원)과 비교하면 약 22% 성장한 규모로, 올해는 20조원 가까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명품 구매가 늘며 그만큼 수선·리폼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 명품 수선·리폼 전문기업 월드리페어(공동대표 김향숙, 김춘보)는 올해 상반기에만 6000건 가까운 명품을 수선, 수리할 정도다. 월드리페어는 수리·수선을 맡긴 고객들과 상담하며 명품의 파손이 많을 곳을 확인·공개했다.
■ 지하철, 대중교통은 명품백의 헬게이트?
출퇴근 만원 지하철과 버스는 명품 파손의 주요 플랫폼이었다. 지하철서 다른 사람 가방에 스트랩이나 손잡이가 걸려 뜯겨 나가 수리를 맡길 때가 많았다. 또 바닥에 떨어져 다른 사람들에게 밟혀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분실 뒤 유실물 보관소에서 스트랩과 손잡이가 떨어지거나 가죽이 찢어져 찾은 경우도 있었다. 버스에선 급정거 때 떨어뜨려 버스 안 이리저리 굴러다니며 파손돼 수리를 맡긴 사람도 있었다.
■ 집안의 다툼은 ‘만악의 근원’
코로나로 인한 집콕의 시간들은 명품가방을 파손시키는 ‘만악의 근원’이었다. 말다툼이 심해져 던지는 것은 애교. 손잡이를 뜯거나 스트랩을 끊는 경우도 있었다. 심할 때는 ‘나 이거 찢는다’고 하자 ‘해봐라’고 약올리다 실제로 칼로 손상시키는 사례도 있었다. 수선을 맡긴 한 의뢰자는 파손 시킨 남편. 강도 높은 부부 싸움 후 부인의 가방을 찢은 뒤 더 냉랭해져 명품 가방을 수리한 뒤 화해를 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 이사할 때 잃어버렸다가…
이사할 때 잘 챙기지 못해 명품가방을 망가뜨린 경우도 자주 발생했다. 짐 속에 섞여 집안서 분실한 뒤 어느 정도 시간 지나 베란다나 장롱에 쌓아 둔 짐 속에서 곰팡이에 도배 돼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이사 짐 쌀 때 다른 짐 밑에 눌려 가죽과 메탈, 금속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 술집서 호신용으로 급하게 썼다가…
기분 좋게 한잔하다 명품백이 부서지는 경우에는 ‘호신용’일 때도 많았다. 주로 술집서 취객과 시비가 붙어 많이 생겼다. 상대방의 폭언으로 시작해 가벼운 몸싸움이 벌어져 값비싼 호신용으로 급하게 활용해 수리를 맡기는 경우도 있다. 또 말싸움이 커져 몸싸움으로 번질 때 중간에 껴 파손 되는 사례도 있었다.
■ 여름 해변의 낭만은 명품백엔 악몽의 장소
휴가 때 플렉스를 위해 늠름하게 들고 나갔다가 손상되는 경우는 여름철 가장 많은 사례. 특히 여름 해변에서의 손상이 가장 많았다. 바닷물에 빠져 금속 부속의 부식은 기본. 한잔 후 햇빛에 장기간 노출돼 가죽이 뒤틀리는 경우도 있었다. 또 모래에 덮여 가죽 부위가 흠 나는 경우도 많았다.
■ 남친의 장난이 수리비용 지출로
장소는 아니지만 남친의 장난도 파손의 큰 원인이었다. 데이트때 가져갔다가 남친의 장난으로 파손되는 경우도 꽤 있었다. 야구 캐치볼 하듯 던지는 장난을 하다 모서리와 금속, 메탈 부분이 파손이 많았다. 여기에 더해 커피, 음료, 술 등에 젖어 가죽이 손상되거나 금속 장식 부분의 부식이 생겨 수리를 맡기는 경우도 있었다.
월드리페어 김춘보 공동대표는 “명품은 소장자의 관심에 따라 가치가 더욱 오래 갈 수 있는 잇템이다”며 “관리만 잘해도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월드리페어, 명품가방 파손 많은 ‘우범지대’ 공개
기사입력:2022-08-09 11:50: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0.09 | ▼21.47 |
코스닥 | 777.61 | ▼10.35 |
코스피200 | 423.66 | ▼2.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086,000 | ▼312,000 |
비트코인캐시 | 777,000 | ▼1,000 |
이더리움 | 6,025,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810 | ▲160 |
리플 | 4,082 | ▼5 |
퀀텀 | 2,915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190,000 | ▼178,000 |
이더리움 | 6,034,000 | ▲3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830 | ▲160 |
메탈 | 1,015 | ▲3 |
리스크 | 541 | ▲3 |
리플 | 4,084 | ▼1 |
에이다 | 1,232 | ▲1 |
스팀 | 18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070,000 | ▼330,000 |
비트코인캐시 | 775,500 | ▼2,500 |
이더리움 | 6,025,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800 | ▲120 |
리플 | 4,082 | ▼5 |
퀀텀 | 2,929 | ▲18 |
이오타 | 277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