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 케미렌즈 “선글라스는 자외선 완벽 차단 제품 골라야”
장마 후 폭염으로 연일 자외선지수가 ‘매우 높음’을 기록하면서 자외선지수에 대해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올 여름 극심한 더위가 예고된 가운데 여름 휴가시즌과 미뤄왔던 포스트코로나 여행 수요까지 겹쳐 자외선 포비아까지 생길 정도다.
매일 체감온도가 33-35도를 기록하고 온열 환자도 급증하자, 기상청은 6월말부터 초여름으론 이례적으로 전국에 폭염주의보를 발효 중이다. 특히 자외선지수는 폭염주의보보다 이른 6월초중순부터 ‘매우 높음’을 빈번히 기록중이다.
자외선지수는 ‘낮음’부터 ‘위험’까지 총 5단계로, ‘매우 높음’은 ‘위험’ 바로 직전 단계로 심각한 수준이다. 자외선은 투과성이 강해 구름도 뚫고 내려온다. 요즘 장마-비 예보에도 자외선 ‘매우 높음’이 유지되는 이유다.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피부와 안구 노화, 시력 감퇴는 물론, 백내장, 황반변성 등 심각한 노인성 눈질환 발생률이 급증한다. 자외선이 눈의 각막을 뚫고 들어와 수정체와 망막, 그리고 더 깊은 곳까지 침투하기 때문이다.
자외선을 차단하려면 선글라스를 착용해야 하는데 이때 차단율 기준이 매우 중요하다. 안경사와 같은 전문가들은 자외선 최대 파장대인 400나노미터 에서 완벽 차단을 권고한다. 안경렌즈 종합 브랜드사인 케미렌즈는 강력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춘 ‘케미 퍼펙트 UV’ 소재로 만든 선글라스, 아웃도어용 누진렌즈, 스포츠고글, 변색렌즈 등을 선보이고 있다. 자외선을 최고 파장대 400나노미터에서 99% 이상 차단할 수 있는 제품들이다.
특히 여름철에 많이 착용하는 선글라스의 경우 이처럼 자외선 차단 성능이 완벽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자외선 완벽차단 여부를 체크한 뒤 선글라스 색상을 고를 땐 용도와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되지만, 어떤 색이든 너무 진하면 곤란하다. 시야가 지나치게 어두워져 동공이 확대되면 자외선 침투율이 높아지고 눈의 피로와 부담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눈이 살짝 비치는 정도인 착색 농도 70~80% 정도면 무난하다.
선글라스뿐만아니라 시력교정용 일반 도수안경에 장착되는 투명렌즈도 안경원에서 자외선 차단 기능의 렌즈를 주문할 수 있으며, 차단율을 확인해보면 된다.
케미렌즈 관계자는 “올 여름처럼 폭염이 맹위를 떨치는 경우에는 자외선 지수가 높은 날이 많아 외출시에는 가급적 자외선 차단이 되는 선글라스나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눈 건강을 위해 좋다” 면서 “휴가지 강이나 바다, 호수, 산, 계곡에서는 자외선 노출량이 더 많아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데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 한국허벌라이프, 뉴트리션 후원으로 대한산악구조협회 알프스 원정대 등정 도와
글로벌 뉴트리션 전문기업 한국허벌라이프가 사단법인 대한산악구조협회 ‘2022 알프스 원정대’를 공식 후원했다고 밝혔다. 이번 후원은 작년 대한산악구조협회의 마리앙봉 초등원정대 후원에 이은 두 번째 후원이다.
대한산악구조협회는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산악구조활동을 통해 안전한 산악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창립된 민간구조단체로 (사)대한산악연맹 창립60주년을 맞아 진행된 이번 알프스 원정에 참여한 원정대는 노익상 원정단장(대한산악구조협회 회장)과 구은수 원정대장(대한산악구조협회 실무부회장)을 비롯해 총 25인으로 구성됐다. 본 원정대는 지난 6월 17일에 출국해 눈과 빙하로 뒤덮인 브라이트호른, 크레바스의 위험이 도사리는 몬테로사의 위험천만한 등반코스를 등반하였으며, 예상치 못한 날씨의 악조건 속에서 2일간 산장에서 대기한 후 마침내 29일 알프스 최고봉인 몽블랑 등정에 성공하였고 지난 7월 2일, 16일간의 여정을 마치고 안전하게 귀국했다.
특히, 이번 원정이 큰 기대를 모은 이유 중 하나는 한왕용 부회장의 참여 사실 덕분이다. 그는 엄홍길 대장과 박영석 대장에 이어 한국인으로서는 세 번째로 히말라야 8,000m급 고봉 14좌 완등에 성공한 산악인으로, 지난 2003년 히말라야 14좌 등정 당시 한 명의 대원도 잃지 않고 원정대를 안전하게 이끈 등반기로 알려진 역사적인 산악인이다
한국허벌라이프는 원정대의 안전하고 성공적인 등반 완수를 위해 에너지를 손쉽게 보충하는 데 도움 줄 수 있는 ▲포뮬라1건강한 식사 쿠키앤크림맛 번들팩 ▲리프트 오프, ▲프로틴 바 디럭스를 제공했다. 또한, 제품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1,000mL 용량의 휴대용 물병과 허벌라이프 볼쉐이커, 스테인리스 재질의 자사 브랜디드 보틀을 함께 전달했다.
한국허벌라이프 정승욱 대표이사는 “원정대의 지치지 않는 도전 정신이 건강하고 활기찬 라이프스타일을 희망하는 소비자에게 좋은 동기부여를 줄 수 있길 바란다”라며 “허벌라이프 뉴트리션은 앞으로도 과학적이고 균형 잡힌 뉴트리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해 기여할 방침이며, 이번 후원처럼 건강한 커뮤니티 및 스포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허벌라이프는 양질의 뉴트리션 제품을 통해 골프, 씨름, 러닝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을 후원하며 선수들의 기량 향상과 활력 충전을 돕고 소비자들에게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실천을 독려하고 있다.
◆버넥트·에이티지, 광주소방안전본부에 재난 안전 물품 기부
글로벌 산업용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솔루션 전문 기업 버넥트(대표 하태진)는 3천만원 상당의 ‘버넥트 리모트(VIRNECT Remote, 다자간 원격 협업 XR 솔루션)’ 라이선스를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에 기부했다고 27일 밝혔다.
다자간 원격 협업 XR 솔루션 ‘버넥트 리모트’는 스마트 글라스 등 각종 모바일 기기에 앱을 설치해 사용할 수 있어 ▲화재 현장 실시간 모니터링 및 현장 정보 공유 ▲119 종합상황실 및 재난 현장 간 원격 소통 지원으로 화재, 폭발 등 재난 현장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버넥트 리모트’ 솔루션을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산업용 스마트 글라스 솔루션 전문기업 리얼웨어(RealWear)의 국내 총판인 에이티지(ATG)에서 스마트 글라스 두 대를 함께 기부했다.
버넥트 관계자는 “다자간 원격 협업 XR 솔루션 ‘버넥트 리모트’는 현장 작업자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인다는 효과가 이미 많은 산업 현장에서 검증되었다”며 “광주소방안전본부에 버넥트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재난 상황 파악 및 현장 수습 시간을 단축하여 위급한 상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통경제 이슈] 케미렌즈 “선글라스는 자외선 완벽 차단 제품 골라야” 外
기사입력:2022-07-27 14:03: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75,000 | ▼445,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18,500 |
이더리움 | 2,611,000 | ▼2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30 | ▼220 |
리플 | 3,142 | ▼11 |
이오스 | 1,019 | ▼9 |
퀀텀 | 3,123 | ▼4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02,000 | ▼475,000 |
이더리움 | 2,614,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190 |
메탈 | 1,183 | ▼8 |
리스크 | 787 | ▼4 |
리플 | 3,140 | ▼12 |
에이다 | 990 | ▼4 |
스팀 | 215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770,000 | ▼500,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18,000 |
이더리움 | 2,611,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10 | ▼210 |
리플 | 3,142 | ▼11 |
퀀텀 | 3,160 | 0 |
이오타 | 30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