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닥터방기원, 구강케어로 카테고리 확장…칫솔·치약 선봬
퍼스널케어 전문 브랜드 닥터방기원(DR.BANGGIWON)이 칫솔과 치약을 새롭게 선보이며 구강케어로 카테고리를 확장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닥터방기원이 새롭게 선보인 구강케어 제품은 ‘부드러운 와이드 칫솔’과 ‘깨끗한 치석케어 칫솔’ 그리고 수용성 매스틱검을 함유한 ‘매스틴트 프레싱 치약 2종’이다.
부드러운 와이드 칫솔은 구강 구조에 딱 맞는 과학적인 와이드 헤드가 적용돼 한 번의 칫솔질로 넓은 부위를 빠르고 깨끗하게 세정한다. 얇고 부드러운 이중 미세모 2,112개가 식모돼 닿기 힘든 치아와 잇몸 구석구석까지 효과적으로 케어한다.
나선형의 특수 가공 스파이럴모가 적용된 깨끗한 치석케어 칫솔은 마찰력을 높여 치아 표면의 치석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미세모가 치아는 물론 잇몸 사이 좁은 틈의 찌꺼기까지 제거한다.
두 제품 모두 99.9% 항균 효과가 인증된 위생 항균모를 사용했으며, 개별 위생 캡 처리로 보관과 휴대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 아래로 갈수록 굵어지는 일자 핸들 쉐입이 적은 힘으로도 편안하고 꼼꼼한 칫솔질을 돕는다.
칫솔과 함께 출시한 매스틴트 프레싱 치약은 구취에 특화된 치약으로 민트향과 플로럴민트향 두 가지 향으로 라인업 됐다.
자연 유래 성분과 5가지 유효성분을 최적 배합했고, 구강 케어에 불필요한 성분은 일절 배제했다. 부드러운 겔 타입의 투명하고 가벼운 제형으로 프레시한 사용감을 자랑한다.
특히 닥터방기원이 독자개발한 닥터비매스틴트™는 국내 최초로 나노 입자화한 수용성 매스틱검을 향료로 사용해 더욱 강력하게 구취를 케어한다.
한편, 닥터방기원 구강케어 신제품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는 닥터방기원 공식 홈페이지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산돌구름 X 카카오웹툰 폰트 지원 사업 확대 업무협약 체결
산돌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손잡고 국내 웹툰 작가의 폰트 고민 해결에 본격 나섰다.
크리에이터 콘텐츠 플랫폼 기업 ㈜산돌(대표 윤영호)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웹툰 플랫폼 카카오웹툰과 ‘창작자 폰트 지원 사업 확대’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산돌은 카카오웹툰과 지난 2014년 다음웹툰 때부터 창작자들을 위해 자사 폰트 플랫폼 산돌구름 폰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왔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폰트 저작권 문제로 고민하는 창작자들을 위해 9년간 진행해온 폰트 지원 서비스에 더해 웹툰과 산돌 폰트 관련 카카오톡 이모티콘 협업 등 다양한 사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웹툰 산업의 가파른 성장과 함께 웹툰 창작 과정에서 폰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작품 연재 시 폰트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창작자들이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이어가도록 돕고 이를 통해 한 단계 발전한 웹툰 콘텐츠 제작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까지 산돌 폰트를 활용해 작품을 선보인 작가는 200여 명에 이르며 현재도 170여 명의 작가들이 산돌 폰트를 사용하며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다. 산돌과 카카오웹툰은 지난 2016년 ‘미생’ 윤태호 작가의 손글씨 개성을 그대로 살린 ‘산돌 미생체’를 개발하고 영리/비영리 활동에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창작자에게 무료 배포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카카오웹툰 작가들은 산돌의 폰트 플랫폼 ‘산돌구름’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산돌 폰트를 활용해 웹툰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콘텐츠의 하단에는 산돌구름의 이미지 로고가 표기된다.
웹툰 폰트를 활용한 다양한 협업 사업도 추진된다. 양사는 올해 3분기 내 카카오웹툰 작가의 작품에 사용되는 폰트를 모아 산돌구름 기획상품으로 출시하고 이모티콘을 론칭하는 카카오웹툰 프리미엄 IP들에 산돌 폰트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모티콘 협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산돌과 함께 한 폰트 지원 사업이 지난 9년간 수많은 웹툰 창작자의 창작 활동에 힘이 되었듯이, 이번 협약도 창작자들에게 보탬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로 뻗어나가는 창작자의 창작 활동에 도움이 될 다양한 방안들을 고민해 나가겠다”고 했다.
산돌 관계자는 “그동안 저작권 걱정 등으로 폰트 사용이 어려웠던 작가들이 웹툰의 장르와 내용에 따라 적절한 폰트를 사용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웹툰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되어 기쁘다”며 “크리에이터들이 최적의 폰트를 활용해 K 웹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 규모를 확대할 수 있도록 산돌구름이 보유한 다국어 폰트 서비스 지원 등 해외 사업 협력 방안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돌은 폰트 테크 기업인 미국의 ‘모노타입(Monotype)’과 글로벌 일본어 폰트 브랜드 ‘모리사와(Morisawa)’를 자사 폰트 플랫폼 ‘산돌구름’에 입점 시키고 지난 6월 아랍어 서비스 론칭 등으로 다국어 폰트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다국어 폰트 서비스 보유와 역량을 바탕으로 폰트 서비스를 다각화하고 웹폰트를 활용해 다양한 사업기회를 넓혀갈 예정이다.
◆빅밸류, 트러스테이와 홈노크 플랫폼 고도화 위한 MOU체결
공간 AI·빅데이터 전문기업 빅밸류(대표이사 김진경)는 프롭테크 기업 트러스테이(대표 김정윤)와 홈노크 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지난 11일 양사는 MOU 체결을 통해 트러스테이가 선보인 주거용 부동산 자산ㆍ임대 관리 플랫폼 ‘홈노크(HomeKnock)’ 고도화를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먼저, 양사는 프롭테크 기술 및 데이터를 바탕으로 트러스테이의 주거용 부동산 자산ᆞ임대 관리 플랫폼 ‘홈노크’ 사용성 확대에 나선다. 빅밸류의 단독ᆞ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등 주거용 부동산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산 가치 정보 모니터링 및 보다 정확도 높은 시세 예측 서비스 등을 구축해 플랫폼 활용 범위를 넓혀나갈 예정이다.
홈노크의 고도화가 진행되면서 임대인에게 필수적인 정보를 편의성을 갖춰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빅밸류의 데이터 기반 AI 학습을 통해 잠재투자 대상 자산 추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는 편리한 임대 자산 관리 및 자산 가치 증대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임대 자산 관리 서비스’의 포문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김정윤 트러스테이 대표는 “홈노크는 부동산 소유자 관점으로 임대관리, 세금계산 등 폭넓은 편의성을 제공 중이며, 이번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부동산 데이터를 한층 더 고도화해 이용자들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것”이라며 “앞으로 인공지능 분석 솔루션 등 고도화된 기술을 통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프롭테크 플랫폼으로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진경 빅밸류 대표는 “유통·금융·건설·공공 등 여러 분야에서 빅밸류의 데이터 가치를 입증하고 데이터 서비스 상용화 과정을 지나왔다”며 “이번 트러스테이와 업무 협약 체결을 통해 부동산 플랫폼 서비스의 진화와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위해 다양한 시각을 갖고 협업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빅밸류는 부동산 및 금융 혁신의 실현을 목표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부동산에 대한 가치 평가 기준을 제공하는 공간데이터 전문 기업이다. 주소 기반 연립ᆞ다세대 시세 조회, 상권 매출 추정 및 입지분석, 부동산 개발 사업 부지 적정성 및 타당성 조사 등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통경제 이슈] 닥터방기원, 구강케어로 카테고리 확장…칫솔·치약 선봬 外
기사입력:2022-07-12 09:27:1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59,000 | ▼469,000 |
비트코인캐시 | 527,000 | ▼21,000 |
이더리움 | 2,612,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30 | ▼220 |
리플 | 3,140 | ▼14 |
이오스 | 1,019 | ▼10 |
퀀텀 | 3,123 | ▼4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45,000 | ▼497,000 |
이더리움 | 2,611,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170 |
메탈 | 1,180 | ▼16 |
리스크 | 787 | ▼7 |
리플 | 3,139 | ▼12 |
에이다 | 990 | ▼4 |
스팀 | 215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10,000 | ▼490,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18,500 |
이더리움 | 2,612,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10 | ▼340 |
리플 | 3,140 | ▼14 |
퀀텀 | 3,160 | 0 |
이오타 | 30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