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쇼박스가 크리에이터 중심의 新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차세대 플랫폼 활용을 통한 글로벌 시장 도약에 나선다.
쇼박스는 15일 오전 11시,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열리는 쇼박스 미디어데이 ‘FUN FOR TOMORROW’에서 국경과 플랫폼, 포맷의 제약을 넘어 K-콘텐츠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한다.
대중에게 ‘재미’를 선사하는 콘텐츠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기업 비전으로 삼아 온 쇼박스는 새로운 콘텐츠 소비 환경과 IT 플랫폼 기술의 발전 속에서 크리에이터들이 지속 가능한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유통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쇼박스는 ‘크리에이터 중심의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며 차세대 플랫폼과 글로벌 시장 속 K-콘텐츠의 무한한 확장을 이끌어 나간다는 포부다.
쇼박스가 그리는 ‘크리에이터 중심의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은 콘텐츠 산업의 핵심인 크리에이터들과 공고한 파트너십을 맺고, 메타버스를 비롯한 새로운 콘텐츠 패러다임 속 크리에이터들의 상상력이 그 자체로 비즈니스 모델 및 콘텐츠가 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쇼박스는 크리에이터들의 아이디어를 안정적으로 발굴하고 구체화할 ‘기획 창작 집단’을 구성해 원천 IP가 ‘슈퍼 IP’로 확장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기존의 콘텐츠 기획•제작•유통의 역할에서 나아가 크리에이터들의 조력자이자 지원자로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한다.
또한 쇼박스는 웹 3.0으로 대표되는 메타버스, NTF와도 결합될 수 있는 가치 있는 IP의 발굴에 전면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쇼박스는 하나의 IP가 포맷과 플랫폼, 국경의 한계 없이 연결•확장되며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전망이다.
웹 3.0 시대에 발맞춰 다양한 플랫폼을 아우를 수 있도록 글로벌 사업영역도 확대해 차세대 플랫폼 밸류체인을 확장한다. 쇼박스는 지난 4월, 미국 투자회사 MCG(Maum Capital Group, 이하 MCG)와 약 1,400억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잠재력 높은 K-콘텐츠 IP 및 국내외의 제작 네트워크를 지닌 쇼박스와 실리콘밸리의 차세대 플랫폼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보유한 MCG가 만나 메타버스, NFT 등 차세대 플랫폼에 특화된 콘텐츠를 투자•제작하는 신사업을 추진하며 글로벌 사업 범위를 공격적으로 확장하겠다는 목표다.
한편 쇼박스는 15일 진행하는 미디어데이에서 판권 개발 및 확보, 기획 제작 등 각 단계에서 준비 중인 IP 라인업을 공개할 예정이다. 약 40여 건의 IP를 개발 중인 쇼박스는 ‘슈퍼 IP’의 개발, 오리지널 IP 기획, 인기 원작 IP의 확보 등을 통해 독보적인 콘텐츠 라인업을 완성할 전망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쇼박스, 글로벌 도약을 위한 비전 공개…크리에이터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로 K-콘텐츠 경쟁력 높일 것
기사입력:2022-06-15 08:17:3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268,000 | ▲6,000 |
비트코인캐시 | 524,000 | ▲1,000 |
이더리움 | 2,663,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70 | ▲80 |
리플 | 3,207 | ▲11 |
이오스 | 999 | ▲5 |
퀀텀 | 3,19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413,000 | ▲198,000 |
이더리움 | 2,660,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80 | ▲50 |
메탈 | 1,223 | ▲7 |
리스크 | 793 | ▼1 |
리플 | 3,207 | ▲11 |
에이다 | 1,029 | ▲14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290,000 | ▲40,000 |
비트코인캐시 | 524,000 | ▲2,000 |
이더리움 | 2,661,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10 |
리플 | 3,207 | ▲11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