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릉숲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시행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 위한 5대 추진전략 및 19개 세부 사업 도출 기사입력:2022-03-25 19:00:16
광릉숲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핵심지역 국립수목원

광릉숲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핵심지역 국립수목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가 광릉숲 유네스코(UNESCO) 생물권보전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 마련을 위한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2022~2026)’을 수립, 시행에 들어갔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관리계획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조정이사회의 권고사항인 ‘지방정부 간 협력 증진 및 생물권보전지역 활성화’의 구체적 실천을 위한 것으로,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진행된 연구용역을 통해 수립됐다.

계획은 ‘인간-생물권이 조화를 이룬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을 목표로 ①자연자원 보전 ②자연자원 활용·발전 ③지역경제 활성화 ④생물권보전지역 관리센터 운영·관리 ⑤교육·홍보 및 주민역량 강화 5대 전략을 도출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중점 추진하게 될 생물권보전지역의 보전 및 발전을 위한 19개 세부 사업을 설정했다.

구체적으로 멸종 위기종(장수하늘소, 광릉요강꽃 등) 복원, 왜래 생물종 퇴치, 둘레길 탐방로 정비, 주차장 신설 및 환경개선, 차 없는 거리 조성, 야생화 재배 기술 지원, 주민공동체 지원사업 등이 포함됐다.

특히 올해부터 주민 활동가 양성 및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국립수목원의 협조로 진행할 예정이며, 미래세대를 위한 어린이 생태교육 프로그램도 개설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련 지자체 간 협력과 국내외 생물권 보전지역 네트워크 활동 등 생물권 보전지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데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은 지난 2010년 22차 유네스코 MAB 총회에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면적은 24,465㏊로 남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에 걸쳐 있으며 기능에 따라 핵심, 완충, 협력 구역으로 구분된다. 지난해 9월 나이지리아 아부자에서 열린 제33차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조정이사회(MAB-ICC) 회의에서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의 ‘정기보고서’가 채택되며 ‘생물권보전지역’이라는 국제적 지위를 유지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경기도 생물권보전지역 관리 조례」를 전면 개정하며 도내 생물권보전지역의 통합관리체계 구축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성규 경기도 산림과장은 “이번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을 계기로 광릉숲의 우수한 생태자원을 보전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힘쓸 것” 이라며 “계획이 체계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26.45 ▲22.03
코스닥 898.17 ▼3.72
코스피200 568.38 ▲2.9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479,000 ▲415,000
비트코인캐시 703,500 ▼3,500
이더리움 4,94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1,670 ▼130
리플 3,309 ▼1
퀀텀 2,572 ▼2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489,000 ▲136,000
이더리움 4,942,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1,650 ▼150
메탈 636 ▼6
리스크 273 ▼1
리플 3,311 ▼5
에이다 793 ▲1
스팀 1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550,000 ▲450,000
비트코인캐시 704,000 ▼3,000
이더리움 4,949,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1,710 ▼120
리플 3,310 ▼1
퀀텀 2,590 0
이오타 188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