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메타버스 게이밍 플랫폼 ‘더 샌드박스(The Sandbox)’가 SM엔터테인먼트의(이하 SM) 계열사 SM브랜드마케팅(이하 SMBM)과 SM엔터테인먼트 그룹의 메타버스 및 P2C 생태계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SMBM은 이수만 총괄프로듀서가 창안한 개념인 Play2Create(이하 ‘P2C’) 생태계 구축을 위한 첫 번째 메타버스 플랫폼과의 파트너십으로 더 샌드박스와 손을 잡게 됐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더 샌드박스 내 K-콘텐츠를 위한 전문 공간인 K-Verse 안에 SM엔터테인먼트 그룹 전용 테마 공간인 SMTOWN LAND를 조성하여 콘서트, 팬미팅 등의 이벤트를 개최하고 유저들이 SM엔터테인먼트 그룹의 IP를 활용해 다양한 게임을 즐기고 NFT 아이템을 창작하는 리크리에이터 이코노미(Re-creator Economy)가 형성될 예정이다.
더 샌드박스와 SMBM는 양사가 가진 IP, 프로듀싱 노하우, 기술력을 활용해 NFT 상품을 공동 기획, 제작하고 전 세계 팬들이 즐길 수 있는 팬 참여형 서비스를 공동 운영한다. 이 외 향후 자체적으로 구축될 예정인 SM엔터테인먼트 그룹의 P2C 생태계 내 플랫폼과 더 샌드박스 플랫폼 간에 NFT 스왑(swap), SM엔터테인먼트 그룹이 제공하는 크리에이터 창작 툴(tool) 제공 등 호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더 샌드박스의 공동창업자인 세바스티앙 보르제(Sebastien Borget)는 “SM 엔터테인먼트 그룹은 지난 27년간 세계에 K-pop 문화를 알리며 아시아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선도하는 혁신을 거듭했다” 라며 “팬들과 K-pop 아티스트가 사용자 창작 콘텐츠(User-Generated Content), 춤, 음악 및 노래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NFT로 둘러싸인 실감나는 경험을 접하며 SM 문화와 세계관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더 샌드박스가 SM엔터테인먼트 그룹 최초의 NFT 메타버스 파트너로 함께 하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SMBM의 이성수 대표는 "SM엔터테인먼트 그룹은 창사 이래 축적해 온 수많은 콘텐츠 IP들과, 아티스트, 그리고 이들이 하나로 연결된 SMCU(SM Culture Universe) 세계관을 바탕으로 디지털 세상에서 더욱 확장 가능성을 지니는 기업이 되었다”며,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잘 구축되어 있는 더 샌드박스가 이번 제휴를 통해 향후 SMCU를 메타버스 내에서 더욱 확장시켜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 샌드박스는 이번에 합류한 SM을 포함해 스눕독 (Snoop Dogg), 워너 뮤직 그룹 (Warner Music Group), 큐브엔터테인먼트(Cube Entertainment), 스컬 앤 쿤타(Skull & Koonta), 데드마우스 (Deadmau5), 스티브 아오키 (Steve Aoki), 리치 호틴 (Richie Hawtin), 시프트업(SHIFT UP), 유비소프트(Ubisoft), 아타리 (Atari), 아디다스 (Adidas), K리그(K-League), 제페토 (ZEPETO), 뽀로로(Pororo), 워킹 데드 (The Walking Dead), 스머프 (The Smurfs), 케어베어 (Care Bears), 그리고 크립토키티 (CryptoKitties) 등 200곳이 넘는 파트너사들과 메타버스 세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더 샌드박스, SM브랜드마케팅과 메타버스 파트너십 체결
기사입력:2022-02-24 09:21: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853.26 | ▼151.59 |
| 코스닥 | 863.95 | ▼27.99 |
| 코스피200 | 540.36 | ▼23.8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6,588,000 | ▼912,000 |
| 비트코인캐시 | 707,000 | 0 |
| 이더리움 | 4,112,000 | ▼2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830 | ▼160 |
| 리플 | 2,914 | ▼12 |
| 퀀텀 | 2,299 | ▼6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6,500,000 | ▼1,257,000 |
| 이더리움 | 4,111,000 | ▼3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860 | ▼150 |
| 메탈 | 598 | ▼12 |
| 리스크 | 273 | ▼6 |
| 리플 | 2,917 | ▼13 |
| 에이다 | 623 | ▼3 |
| 스팀 | 107 | ▼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6,440,000 | ▼1,040,000 |
| 비트코인캐시 | 705,000 | ▼2,000 |
| 이더리움 | 4,105,000 | ▼2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870 | ▼80 |
| 리플 | 2,910 | ▼18 |
| 퀀텀 | 2,275 | ▼100 |
| 이오타 | 169 | ▼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