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일본 제조업 생존전략은 '공급망 개선, 그린, 디지털' ②

기사입력:2021-06-07 06:42:22
[로이슈 편도욱 기자] 코로나19 이후 주요 17개국의 경제회복기금에서 약 30%에 해당하는 3조5000억 달러가 친환경적 분야에 투자됐을 만큼 ‘그린딜’도 코로나 공존 시대 대응을 위해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 쟁점이다.
그 중에서도 EU는 강력한 경제 회복 의지를 그린딜을 통해 실천하고 있다. EU는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기후법을 발의하고 탄소배출량이 많은 역외 기업을 대상으로 관세도입을 추진하는 데 더해 그린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최소 1조 유로를 조성할 계획이다.

일본도 현재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시킨다는 목표를 표명했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 <그린 성장전략>을 채택해 기술 혁신을 통한 성장이 기대가 되는 14가지 분야에서 탈탄소 실현 계획을 세우고 2조 엔의 그린 이노베이션 기금과 연구개발 관련 세제 지원 등 기업의 도전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제조업의 친환경 탈탄소 바람은 공급망 전체의 탈탄소 방향과 금융기관의 그린 파이낸스의 도입 등으로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어서 제조업자들의 적극적인 친환경 성장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미 미국의 애플과 같은 글로벌 기업 등은 자신들의 공급망의 탈탄소를 현실화해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국내외의 ‘그린본드’ 발행액은 2019년 기준 2675억 달러를 넘어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탈탄소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일본 제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탈탄소 도입이 필수적인 상황이 형성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그린 바람은 거센 상황이다. 국내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최근 발간한 ‘그린뉴딜 관련 국제사회의 대응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국제사회는 코로나19 극복 과정에 있어 기존 화석연료 기반 성장 방식에서 벗어나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을 위해 힘쓰고 있다”며 “한국형 뉴딜에 포함된 그린뉴딜 또한 경제 회복을 저탄소 투자 기회로 활용하려는 국제 사회의 추세에 부응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향후 그린뉴딜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국제사회의 관련 분야별 특징을 이해하고 국제 협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면서 몇 가지 대응책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지속가능금융 논의 참여를 통한 재원 조성이다. 정부의 재정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지속가능금융 논의에 가장 앞선 EU와 협력해 국내외 민간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KIEP는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쇠퇴할 것으로 전망되는 화석연료 기반 산업 근로자와 에너지 빈곤층을 대상으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 정부의 참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디지털과 금융의 융·복합 확대, 해외진출 지원 정책과의 연계 등이 언급됐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59.20 ▲30.58
코스닥 855.99 ▲2.73
코스피200 361.45 ▲4.9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2,538,000 ▲239,000
비트코인캐시 682,500 ▲7,500
비트코인골드 46,660 ▲400
이더리움 4,52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37,980 ▲480
리플 755 ▲9
이오스 1,166 ▲11
퀀텀 5,690 ▲8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2,694,000 ▲405,000
이더리움 4,534,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38,010 ▲460
메탈 2,490 ▼32
리스크 2,644 ▲24
리플 755 ▲8
에이다 677 ▲8
스팀 418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2,482,000 ▲330,000
비트코인캐시 682,500 ▲10,000
비트코인골드 47,000 0
이더리움 4,525,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38,120 ▲620
리플 754 ▲8
퀀텀 5,670 ▲65
이오타 337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