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뇌염증 단백질 C8-감마의 역할 규명

기사입력:2021-01-06 22:25:31
알츠하이머병 뇌에서 C8-감마의 발현 변화 및 기능 규명. 사진=한국연구재단

알츠하이머병 뇌에서 C8-감마의 발현 변화 및 기능 규명. 사진=한국연구재단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경북대 의과대학 석경호, 김종헌 교수 연구팀이 치매 병리현상중 하나인 뇌염증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생체단백질 C8-감마의 염증완화 기능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C8-감마란 염증반응에 보조역할을 하는 성분 중의 하나인 C8-복합체의 구성 단백체를 뜻한다.

치매의 주요 병리현상인 뇌염증은 뇌에 발생한 감염에 대응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포반응으로, 주로 교세포(성상교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의해 일어난다.

경미한 뇌염증은 회복되지만, 과도한 뇌염증은 비가역적인 뇌 손상을 일으켜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교세포란 주로 신경세포 생존 및 활성 지지 기능을 가진 성상교세포와 뇌 속 청소를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로 구성된다. 병리학적 뇌 환경에서는 뇌염증 기능을 수행한다.

연구팀은 뇌염증이 동반되는 치매 동물모델이나 치매환자의 뇌에C8-감마 단백질 농도가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했다. 뇌척수액과 혈액에서도 정상군보다 이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뇌염증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을 이용해 급성 뇌염증이 성상교세포를 자극해 C8-감마 발현을 유도한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실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조직에서 검증했다.

나아가 C8-감마가 S1P와 S1PR2(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수용체2) 간의 상호결합을 경쟁적으로 저해함으로써 과도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혀냈다.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란 염증활성 촉진, 세포이동 등 다양한 세포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로, SIPR2와 S1P의 결합은 미세아교세포의 염증 활성을 촉진한다.

치매환자에서 C8-감마의 농도 증가는 진단을 위한 실마리가, 미세아교세포 활성 저해를 통한 염증완화라는 C8-감마의 역할은 치료제 개발 연구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8-감마는 다른 조직에서는 C8-복합체 형태로 분비되지만 연구팀이 발견한 독립형 C8-감마는 뇌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해 진단 활용 가능성이 더욱 높고, 또한 생체단백질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보다 안전한 치료법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부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류훈, 황은미 박사 및 한국뇌연구원 허향숙, 최영식 박사와 공동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브레인(Brain)에 2020년 12월 31일자로 온라인 게재(표지논문)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37.83 ▼37.92
코스닥 854.79 ▼7.44
코스피200 358.09 ▼5.5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2,355,000 ▼267,000
비트코인캐시 692,000 ▲5,500
비트코인골드 47,070 ▼240
이더리움 4,53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7,840 ▲80
리플 758 ▲3
이오스 1,271 ▼23
퀀텀 5,710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2,414,000 ▼386,000
이더리움 4,538,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37,830 0
메탈 2,305 ▼6
리스크 2,328 ▲11
리플 759 ▲1
에이다 682 ▲2
스팀 410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2,179,000 ▼352,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4,500
비트코인골드 47,860 ▼140
이더리움 4,52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37,610 ▼160
리플 757 ▲2
퀀텀 5,695 ▲60
이오타 341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