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경북대 의과대학 석경호, 김종헌 교수 연구팀이 치매 병리현상중 하나인 뇌염증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생체단백질 C8-감마의 염증완화 기능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C8-감마란 염증반응에 보조역할을 하는 성분 중의 하나인 C8-복합체의 구성 단백체를 뜻한다.
치매의 주요 병리현상인 뇌염증은 뇌에 발생한 감염에 대응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포반응으로, 주로 교세포(성상교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의해 일어난다.
경미한 뇌염증은 회복되지만, 과도한 뇌염증은 비가역적인 뇌 손상을 일으켜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교세포란 주로 신경세포 생존 및 활성 지지 기능을 가진 성상교세포와 뇌 속 청소를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로 구성된다. 병리학적 뇌 환경에서는 뇌염증 기능을 수행한다.
연구팀은 뇌염증이 동반되는 치매 동물모델이나 치매환자의 뇌에C8-감마 단백질 농도가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했다. 뇌척수액과 혈액에서도 정상군보다 이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뇌염증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을 이용해 급성 뇌염증이 성상교세포를 자극해 C8-감마 발현을 유도한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실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조직에서 검증했다.
나아가 C8-감마가 S1P와 S1PR2(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수용체2) 간의 상호결합을 경쟁적으로 저해함으로써 과도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혀냈다.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란 염증활성 촉진, 세포이동 등 다양한 세포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로, SIPR2와 S1P의 결합은 미세아교세포의 염증 활성을 촉진한다.
치매환자에서 C8-감마의 농도 증가는 진단을 위한 실마리가, 미세아교세포 활성 저해를 통한 염증완화라는 C8-감마의 역할은 치료제 개발 연구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8-감마는 다른 조직에서는 C8-복합체 형태로 분비되지만 연구팀이 발견한 독립형 C8-감마는 뇌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해 진단 활용 가능성이 더욱 높고, 또한 생체단백질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보다 안전한 치료법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부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류훈, 황은미 박사 및 한국뇌연구원 허향숙, 최영식 박사와 공동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브레인(Brain)에 2020년 12월 31일자로 온라인 게재(표지논문)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국내 연구진, 뇌염증 단백질 C8-감마의 역할 규명
기사입력:2021-01-06 22:25:3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5.41 | ▲5.62 |
코스닥 | 719.57 | ▼2.29 |
코스피200 | 340.34 | ▲1.5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48,000 | ▲147,000 |
비트코인캐시 | 535,000 | ▲1,500 |
이더리움 | 2,593,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50 | ▲70 |
리플 | 3,048 | ▲4 |
이오스 | 984 | ▼4 |
퀀텀 | 2,908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99,000 | ▲266,000 |
이더리움 | 2,595,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10 | ▲20 |
메탈 | 1,102 | ▲4 |
리스크 | 679 | ▲5 |
리플 | 3,049 | ▲5 |
에이다 | 963 | ▲3 |
스팀 | 196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80,000 | ▲100,000 |
비트코인캐시 | 534,500 | ▲1,500 |
이더리움 | 2,593,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10 | ▲50 |
리플 | 3,049 | ▲7 |
퀀텀 | 2,895 | ▼9 |
이오타 | 27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