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국내 튜닝 캠핑카 시장이 규제가 완화된 이후 8개월 동안 크게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권병윤)은 지난 10월 말 기준 약 8개월간 캠핑용자동차 튜닝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튜닝 캠핑카 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2월28일~10월31일)보다 267.4%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2월 28일 승합차 외 다양한 차종을 캠핑카로 튜닝할 수 있게 규제가 완화된 후 10월 31일까지 캠핑카 튜닝 대수는 5,618대로 전년 동기(1,529대)에 비해 4,089대가 증가했다.
캠핑용자동차 튜닝이 활성화된 것은 지난 2월 28일 튜닝 규제가 완화돼 캠핑카 튜닝 가능 차종이 확대되고, 5월 27일부터 튜닝 허용범위 확대로 화물차 캠퍼가 허용된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최근 국민들의 비대면 관광수단인 캠핑(차박)에 대한 높은 관심이 더해져 튜닝산업이 활기를 띤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규제완화 후 캠핑용자동차 튜닝 현황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월별로는 6월 1,053건(18.6%)으로 가장 활발히 이뤄졌으며, 5월 731건(12.9%), 10월 707건(12.5%)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7.5%(1,554건)로 가장 높았고, 서울 9.6%(542건), 경북 7.6%(431건) 순으로 캠핑카 튜닝 수요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제일 높은 곳은 서울로, 전년대비 401.9%(434건)가 증가했고, 강원 383.7%(165건), 충남 311.4%(218건) 순이었다.
차종별로는 화물차를 캠핑카로 튜닝하는 경우가 48.1%(2,717건)로 가장 많고, 승합차가 43.9%(2,481건), 승용차 7.3%(412건), 특수차 0.7%(42건)로 나타났다. 특히 화물차 2,717건 중 2,625건은 특수차로 차종을 변경하고, 나머지 92건은 캠퍼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캠핑카 튜닝 규제는 완화된 반면 캠핑카의 안전성이 강화돼 캠핑카 튜닝 시 액화석유가스 및 전기설비 기준 외에 비상탈출구, 주행 중 수납함 개폐 방지, 취침시설 등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
캠핑카 튜닝 승인검사 시 주된 부적합 사유는 주차제동력 기준 미달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차량 중량 허용차 초과, 소화기 미설치 등으로 나타나 튜닝 시 세밀한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튜닝시장에 따르면 캠핑카 튜닝의 평균 작업비용은 1,050만원으로, 캠핑카 튜닝 규제 완화 이전보다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캠핑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한편 지난달 1일부터 18일까지 대형마트 캠핑용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4% 증가했으며, 기온이 내려가면서 침낭, 매트리스 등 방한용품 구매가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과거에는 봄·가을과 여름 휴가철이 캠핑의 주력 시즌이었지만 캠핑카 튜닝 규제 완화와 캠핑수요 증가가 맞물려 겨울캠핑의 참 맛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공단 권병윤 이사장은 “튜닝 규제완화로 국내 튜닝산업이 활성화된 만큼 향후 튜닝기준의 제도정비를 통해 건전한 튜닝문화 조성에 적극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튜닝 활성화 및 경제 성장을 위해 캠핑용자동차 튜닝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튜닝 규제 완화하자 튜닝 캠핑카 267% 증가
건전한 튜닝 문화 조성을 통한 튜닝산업 활성화 등 기대 기사입력:2020-11-17 16:12:5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8.07 | ▼4.22 |
코스닥 | 820.67 | ▲2.40 |
코스피200 | 431.10 | ▼0.5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00,000 | ▲215,000 |
비트코인캐시 | 708,000 | ▲3,000 |
이더리움 | 4,91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5,220 | ▲2,650 |
리플 | 4,748 | ▲5 |
퀀텀 | 3,319 | ▲4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90,000 | ▲240,000 |
이더리움 | 4,914,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780 | ▲2,250 |
메탈 | 1,111 | ▲7 |
리스크 | 639 | ▲7 |
리플 | 4,753 | ▲6 |
에이다 | 1,143 | ▲10 |
스팀 | 20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5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709,000 | ▲4,500 |
이더리움 | 4,914,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600 | ▲2,080 |
리플 | 4,750 | ▲10 |
퀀텀 | 3,247 | 0 |
이오타 | 315 | ▲5 |